총회 의장인 로랑 파비위스 프랑스 외무장관은 이날 "합의문이 채택된다면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면서 협약 당사국이 채택해 달라고 요청했다.
파비위스 장관은 "합의문에서 새 기후변화 체제의 장기 목표로 지구 평균온도의 산업화 이전 대비 상승폭을 섭씨 2℃보다 훨씬 작게 제한하며 섭씨 1.5℃까지 제한하기로 노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도서 국가나 가난한 국가들이 요구해 온 사항이다.
현재 지구 온도는 이미 산업화 이전보다 1℃가량 상승한 상태다.
하지만 중동 등 일부 국가는 1.5℃로 상승폭 제한 목표를 두면 농지에 삼림을 조성해야 해 식량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면서 더 느슨한 목표를 세우자고 주장해왔다.
이번 합의는 법적 구속력도 갖추게 돼 위반할 경우 처벌이 따르며 5년마다 당사국이 탄소 감축 약속을 지키는지 검토하기로 했다.
또 합의문에서는 2020년부터 선진국이 개발도상국 등 가난한 국가의 기후변화 대처를 돕도록 매년 1000억 달러(118조1500억원)를 지원키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