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세계 수산물 수출액은 한·미 FTA 발효 전에 비해 19.1% 줄었지만, 대미 수산물 수출액은 22.8%가 늘었다. 전체 수산물 수입액 역시 8.7% 증가한 반면 대미 수입액은 47% 증가했다.
지난 2012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후 미국과 수산물 교역규모는 이전에 비해 33.3% 증가(3억6000만 달러 → 4억8000만)했다. 같은 기간 전체 수산물 교역규모가 1.3% 감소(65억4010만 달러 → 64억5460만 달러)한 것을 볼 때 선전한 수치다.
지난 4년간 대미 수산물 수출액 증가세를 주도한 것은 김(75.9%↑), 이빨고기(29.9%↑), 넙치(144%↑), 참치(149%↑) 등이다. 국내 생산 호조,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개발, 적극적인 현지 마케팅 등에 기인한 것으로 해수부는 분석하고 있다.
미국으로부터의 수산물 수입 또한 전체 수입보다 빠르게 증가했다. 연어(236.8%↑), 명태(79.3%↑), 먹장어(55.3%↑) 등을 중심으로 수입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향후 FTA 효과 극대화를 위해 수산업 전반에 걸친 경쟁력 강화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신규 품목 발굴과 적극적인 마케팅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