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방경찰청(청장 김치원)에 따르면,14일 오전 A(67세, 여)씨는 금감원 직원이라 사칭하며 “누군가 당신 명의를 도용해서 대출을 받으려고 하니, 통장에 있는 돈을 모두 현금으로 인출하라.”는 전화를 받았다.
이에 놀란 A씨는 남동농협 한화지점에 방문, 3,800만원을 인출하려던 것을, 은행 지점장이 112신고하여 피해를 예방하게 되었다.
또한, A씨 외에도 같은 날 B(88세, 여)와 C(84세, 여)씨도 이와 유사한 수법에 속아 각각 현금 5천만원, 1,900만원을 인출하려던 것을 각 은행 직원의 112신고로 피해자들의 귀중한 재산인 1억이 넘는 금액을 모두 예방하였다.

전화금융사기[1]
한편 지난해 인천지방경찰청은, 11개 금융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15.6.4)하고, 112신고체제를 구축하여 15년도에는 56건에 13억 5000여만원을 예방하였으며, 금년 1월부터 현재(16.6.14)까지 38건에 9억 8,489만원을 예방하는 등 그간의 피해예방이 총 94건, 23억 3천여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밝혔다.
이는 경찰청 우수사례로 선정되어, 현재 전국으로 확대 시행중에 있으며, 그 예방사례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화금융사기의 최근 수법은, 대포통장 단속, 인출책 검거 등으로 범행이 어려워지자 금융감독원 및 검찰·경찰 수사관 등을 사칭하며 개인정보 유출 및 명의도용 되었다며 계좌에 있는 돈을 모두 현금인출토록 하여 직접 찾아와서 돈을 받아가거나 계좌에 있는 현금이 위험하니 모두 인출하여 집안 특정 위치에 보관하게 한 후 피해자로부터 집 열쇠나 비밀번호를 지득하여 절취하는 수법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경찰ㆍ은행원에게 절대로 알리지 말라며 피해자의 입단속을 철저히 하는 등 그 세부수법은 계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경찰은 앞으로도 지속적이고 철저한 단속과 노인, 부녀자 등을 대상으로 홍보활동도 계속 할 것을 밝혔으며, 수사기관·금융감독원·금융기관이라며 예금을 보호해 준다거나, 주민등록번호·계좌번호·비밀번호 등을 요구하는 것은 100% 사기이며, 대출 신용도를 올려주겠다거나 수수료 명목 등으로 선입금을 요구하는 대출도 신종 대출사기이므로 이에 속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하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