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AP연합]
아주경제 윤세미 기자 =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 결정 후 전 세계에 정치 경제 금융 부문에서 후폭풍이 거세다.
EU 회원국들은 릴레이 비상대책회의에 돌입했다. 영국의 EU 탈퇴가 결정된 이후 장 클로드 EU 집행위원장, EU 창설 6개국 외무장관들은 영국에 신속한 탈퇴를 요구했다. 그러나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EU에 영국의 분리를 너무 다급하게 밀어붙이지 말자는 입장을 표명하는 등 영국의 EU 탈퇴 협상과 관련해 EU 내에서도 미묘한 이견도 감지된다
BBC 등 외신에 따르면 메르켈 총리는 이날 EU가 영국의 탈퇴 과정에서 “특별히 못되게 굴 필요는 없다”며 영국의 다급한 탈퇴는 선호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그는 영국과의 탈퇴 협상이 “객관적이고 우호적인” 환경에서 “적절하게 이뤄져야한다”고 덧붙였다.
메르켈 총리의 이 같은 발언은 영국의 신속한 탈퇴 이행을 촉구한 장 클로드 융커 EU 집행위원장을 비롯해 독일 정부 인사들과도 극명히 반대되는 것이다.
지난 23일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브렉시트 결정 후 금융시장은 요동쳤다. 파운드는 달러 대비 8% 폭락했고 안전자산인 엔은 장중 달러 대비 100엔 밑으로 붕괴되며 초강세를 나타냈다. 24일 전 세계 증시는 일제히 급락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영국이 결국 EU 탈퇴 결정 후 전 세계 증시에서 증발한 시가총액은 무려 2조5464억 달러(약 3천조 원)에 달했다.
단기적으로 글로벌 금융시장 동요는 불가피해 보인다. 중기적으로는 금융시장 보다는 브렉시트에 따른 기업들의 고용이나 투자 영향 등 실물 경제 활동이 영향을 미치고, 장기적으로는 영국의 EU 탈퇴 후 무역 협상이 상황을 좌우할 수 있다.
영국의 EU 탈퇴 결정 후 무디스는 영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강등했다. 또한 영국 경제는 향후 1년간 마이너스 성장하고 향후 2년간 GDP은 잔류 대비 3.6%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실질 임금 하락, 파운드 급락, 부동산 하락, 일자리 감소도 피할 수 없어 보인다.
영국의 캐머런 총리는 오는 10월 사임을 발표했다. 캐머런 총리가 탈퇴 협상은 차기 총리의 몫이라고 밝힌 만큼 탈퇴 협상은 10월 이후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의 운명은 EU와의 탈퇴 협상에 달려있는데 전문가들은 협정 승인에 몇 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한다.
영국 내 국론 분열을 봉합할 대책도 시급하다. 이미 스코틀랜드의 분리독립이 추진되고 있는 데다가 EU 회의론이 번지면서 다른 유럽국가의 EU 도미노 탈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