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국토교통부는 10일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2차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세계 선도형 스마트시티 구축사업'이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중 하나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기술개발 투자를 바탕으로 도시개발 경험과 연계한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맞춤형 실증모델을 구축해 스마트시티 시장을 선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마트시티는 기존 도시 인프라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도시관리 효율성과 시민 삶의 질을 향상시킨 것으로, 수자원과 에너지, 환경, 방범 등의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미국과 중국, 유럽연합(EU) 등은 국가 차원의 스마트시티 연구개발(R&D)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스마트시트에 향후 5년간 33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와 연계해 스마트시티를 구축한다.
국토부는 우선 교통, 에너지, 물 등 도시 내 각종 인프라 중 상호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개별 인프라 시스템을 연계.통합하기로 했다.
예컨대 개별 빌딩 위주의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주변 시설물로 확대.연계하는 것이다. 업무용 오피스의 잔여 에너지를 블록 또는 지구단위로 확장해 일대 주택가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가 가능할 전망이다.
진현환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우리나라는 그동안 도시건설, 에너지, 정보통신 등 개별산업·부처 중심으로 세부 요소기술 개발에 집중해 상호 연계를 통한 시너지 창출에 한계가 있었다"며 "조성 중인 신도시 등에 유틸리티를 결합한 모델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R&D 결과를 실증하는 신도시형과 서비스 솔루션 중심의 기존도시형으로 각각 차별화하고, 내년에는 공모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에 적용한다.
또 해외국가 수준별 맞춤형 ‘해외진출 표준 모델’도 마련한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국과의 R&D 공동투자, 도시개발 사업 공동참여 등 다각적인 해외 진출 방안도 모색한다.
진 정책관은 "프로젝트가 차질 없이 수행되면 도시관리 효율성이 15% 이상 향상되고, 민간 참여 활성화를 통해 스마트시티 관련 고부가가치 신산업 생태계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는 일자리 창출과 국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SKT, KT 등의 글로벌 10대 선도기업 진입 및 스타트업 100개 이상 육성이 목표다.
아울러 도시개발 분야가 해외건설 수주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현재 약 10%에서 2025년 30% 수준까지 높인다. 금액으로는 연평균 4~5조원 수준에서 14~15조원까지 해외 신도시 수주가 확대될 것이란 기대다.
진 정책관은 "미래부, 산업부와 국가전략프로젝트 총괄조정위원회를 구성해 관계부처 간 협업을 강화할 것"이라며 "스마트시티 관련 산업 육성, 해외진출 지원 등에 대한 법․제도개편도 병행해 스마트시티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