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시대 최대 규모 제사관련 "목곽고(木槨庫)" 서천에서 확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8-17 12:2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 현재까지 확인된 백제시대 목곽고 중 최대규모, 백제시대 서천 재조명

▲백제시대 최대 규모 제사관련 목곽고(木槨庫), 서천군에서 확인(탐방로 근경)[사진제공=서천군]


아주경제 허희만 기자 =충남 서천군(군수 노박래)은 제473호 서천 봉선리유적 발굴조사의 주요 성과를 18일 발표했다.

 문화재청의 지원으로 충남역사문화연구원(원장 장호수) 발굴단에서 용역을 수행해 진행된 이번 발굴조사는 봉선리 유적의 정상부에 위치하는 백제시대 제단유적과 관련된 지원시설의 구조와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됐다.

  이번 조사를 통해 백제시대 저장시설 중 최대 규모의 목곽고(木槨庫·목재로 만든 저장시설)가 확인됐다.

 백제시대 한성말에서 웅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곽고는 약 4m 깊이로 땅을 파고 나무로 결구한 지하식 저장시설이다. 규모는 480(가로)×470(세로)㎝의 방형형태로 현재까지 확인된 백제시대 목곽고 중 규모가 가장 큰 것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목곽고 내부에서는 삼족기와 기대편 등 제사와 관련된 토기류와 목제 농공구, 그리고 박, 복숭아, 밤 등의 씨앗류, 멧돼지 이빨과 큰 포유류의 턱뼈, 다리뼈 등이 함께 출토됐다. 이러한 출토유물은 서천 봉선리 제단시설에서 행해진 제사행위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목곽고 주변의 제사를 위한 지원시설부지는 흙을 성토, 대지를 조성한 인위적인 흔적이 넓게 확인됐다.

주변에는 2~3기 단위로 조성된 원형의 수혈 유구도 나타났다. 수혈유구에서는 목곽고와 비슷한 시기로 추정되는 토제 아궁이틀, 삼족기, 고배 등 다수의 유물이 출토됐다. 이 수혈 유구들도 목곽고와 함께 제사를 준비하기 위한 시설로 추정된다.

 발굴조사 단장 장호수 충남역사문화연구원장은 "대규모 제사유적이 발견된 만큼 백제 시대의 서천 지역이 바다를 향한 금강의 출구였다는 중요성이 재조명되어야 할 것"이라며 "유적 발굴을 계기로 해양강국 백제사 해양문화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전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노박래 서천군수는 “이번 봉선리 유적 목곽고와 제사유적 확인에 발맞춰 유적의 정비와․ 복원에 만전을 기하고 향후 백제시대의 대표적 유적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유물전시관 건립 등 후속조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서천 봉선리 유적은 청동기시대 주거지와 석관묘, 마한시대 토광묘, 토기류·철기류, 구슬류, 백제시대 장신구류, 조선시대 동전 및 자기류 등이 출토돼 사적 제473호로 지정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