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중구 롯데백화점 면세점을 찾은 내·외국인들이 화장품 매장을 가득 메우고 있다. [남궁진웅 timeid@]
원산지 관리 대상이 광범위하고, 인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전수 모니터링을 할 수가 없다'는 당국의 안일한 방침이 불법 제품을 유통시키는 업체들에 날개를 달아준 셈이다. 특히 원산지 표시 위반 업체에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체들이 수차례 검찰에 고소 및 고발을 했으나 적절한 조치가 없었고, 이번 중국산 레깅스 원산지 세탁 사태(본지 18일자 1면 단독)가 터진 후에도 빠른 대응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불신감이 높아지고 있다.
◆ 관세청 '사후약방문식' 대처에 원산지 세탁은 '재탕 삼탕'
관세청의 '사후약방문'식 대처에 원산지 세탁이 끊이질 않고 있다. 무엇보다 원산지 세탁 문제가 커진 뒤 늑장 대처로 인해 애꿎은 중소업체들만 피해를 보게 돼 볼멘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온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인근 CK사무실]
의류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때를 놓쳤다. CK무역이 무자료 거래를 해왔기 때문에 정부가 제대로 된 수사를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국세청이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의원(기획재정위원회, 정책위의장)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관세청의 여행자 휴대품 검사율은 1.6%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2011년 2000만명 수준이었던 입국자 수가, 2015년 3000만명 수준까지 증가했지만, 검사인력의 한계로 검사건 수는 크게 늘지 않았다.

[그래픽=김효곤 기자 hyogoncap@]
B도매상은 "정부가 중국으로 도피한 조 대표를 찾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눈 뜨고 코 베인 꼴"이라며 "CK무역은 조만간 다른 브랜드를 가지고 또 시장의 물을 흐릴 것"이라고 전했다.
◆ 검찰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 국민 억울함 호소에도 '나몰라라'

[▲아주경제DB]
일부 의류업체들이 국민신문고와 검찰청에 원산지 위반에 대한 건을 고발했던 것. 실제 일부 업체가 3분기에 해당 건에 대한 고발을 진행했으나 현재까지 제대로 된 수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인근 거리]
업계 관계자는 "시장의 건전한 발전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관세청과 사정기관 등 정부 부처 간 긴밀한 협조가 필수"라며 "부작용을 최소화할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