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월 2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총 6만5396명이 11만116건의 통신·공공요금 등의 납부 실적자료를 개인신용조회회사(CB)에 제출했다.
매달 평균 약 6500명이 제출한 셈이다. 나이스평가정보에 4만4186명(7만2695건), 코리아크레딧뷰 2만1210명(3만7421건)이 각각 접수됐다.
이는 '제1차 국민체감 20대 금융관행 개혁'의 하나다. 올해 1월부터 나이스평가정보·코리아크레딧뷰로 등 개인신용조회회사(CB)에 통신·공공요금 등에 대한 성실 납부실적을 제출할 경우 개인신용평가 시 가점을 부여하는 방안을 도입했다.
주로 건강보험(41.1%)과 국민연금(40.6%)의 납부실적 내역이 활용됐다. 제출이 간편하기 때문이다.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납부실적의 경우 CB 홈페이지에서 공인인증서로 본인 확인 후 납부실적을 자동으로 CB사에 접수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통신요금(13.5%) 납부실적은 팩스 등으로 제출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출 실적이 저조했다.

[사진=금융감독원]
통신·공공요금 등에 대한 성실 납부실적을 제출한 5만6054명(85.7%)은 신용평점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5553명(9.9%)은 신용등급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7등급에서 은행을 이용할 수 있는 6등급으로 상승한 사람은 1610명으로 비율(29.0%)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 6→5등급(16.2%), 8→7등급(14.3%), 5→4등급(13.3%), 4→3등급(8.6%) 등이 뒤를 이었다.
금감원은 "개인 신용등급은 대출 여부나 금리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이지만 특성상 단기간에 개선하기가 쉽지 않다"며 "번거롭더라도 통신·공공요금 성실 납부실적을 CB에 꾸준히 제출해 신용등급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성실 납부실적은 쌓이면 쌓일수록 가점이 늘어난다. 코리아크레딧뷰는 6~24개월의 성실납부기간에 따라 5~15점의 가점을 부여하고 있다.
현재는 매 6개월마다 납부실적을 제출해야 신용평가에 반영된다. 금감원은 이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통신사·공공기관이 정보 제공에 동의한 소비자의 납부 정보를 CB에 직접 제공하는 방안도 해당기관과 협의할 계획이다.
또 성실 납부실적을 꾸준히 제출한 소비자가 신용평가에서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내년 상반기 중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고, 비중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