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건조증, 식염수·인공누액 사용하면?...초기증상엔 과다사용보다는 좋은 대처법 따라야

[사진=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김재윤 기자 = 안구건조증의 초기증상을 알아보고 이를 개선 또는 예방하는 생활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구건조증이란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의 지나친 증발, 눈물 구성성분의 불균형 등으로 안구 표면이 손상되고 눈의 시림, 자극, 이물감, 건조감 같은 증상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안구건조증은 건조한 날씨와 난방 기구 사용, 추운 날씨에서 부는 바람과 같은 계절적 원인도 있지만 도심의 대기오염, 건조한 사무실, 스마트폰과 컴퓨터 모니터, TV의 과도한 사용과 같은 생활적 요인으로도 발생한다.

안구건조증으로 눈물이 부족하게 되면 여러 가지 불편함이 나타난다. 눈에 이물질이 들어간 느낌, 무거운 눈꺼풀과 두통, 장시간 집중해서 무언가를 볼 수 없는 상황, 바람이 불면 더 나는 눈물 등이 그것이다. 또한, 자주 충혈 되는 눈과 아침에 일어났을 때 눈뜨기가 어려워지기도 하며, 눈이 화끈거리거나 슬픈 상황에서도 눈물이 나질 않기도 한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의 구성 성분이 부족하거나, 각막 또는 안검의 이상으로 누액층 형성이 안 되는 경우에 생길 수 있다. 또한, 정상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눈물 생산이 감소하여 생길 수 있는데 남녀 어느 연령에도 발생하지만,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서 빈도가 특히 높다.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하루 동안 충분한 양의 물을 마시거나 겨울철에는 가습기를 사용해 실내 습도를 60%로 유지해 주는 등 수분을 관리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흔히, 안구건조증 때문에 생리식염수나 인공눈물 등을 자주 점안하는데 사용이 과하게 되면 오히려 안구건조증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주의가 요구된다. 눈을 만지기 전에는 손을 씻어 세균 감염을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며, 장시간의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는 것도 필요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