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연합회 "지원정책 및 제도에 대한 실효성 높여야"

아주경제 박정수 기자 = 소상공인에 지원제도나 정책에 대한 체감도가 낮아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27일 소상공인연합회는 서울 여의도에 있는 한 중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2016 소상공인 비즈니스 활성화 등 실태조사’ 결과 자료를 공개했다.

이 자리에서 지난 10월 6일부터 11월 25일까지 약 2개월간 3000여 개 전국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2016년 소상공인 지원제도나 정책에 대한 체감도, 대기업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영업활동에 있어 정부의 소상공인에 지원제도나 정책에 대한 체감도는 체감이 11.1%이며, 비체감이 48.1%로, 비체감률이 체감률보다 4배 정도 높게 나타나 정책 실효성에 대한 전반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업종별로 영업활동에 있어 정부의 소상공인에 지원제도나 정책에 대해 체감하지 못한다는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83.3%), 건설업(66.2%)에서 높게 나타났다.

월 매출별로 정부의 소상공인에 지원제도나 정책에 대해 체감하지 못한다는 5천~1억원 미만(78.1%)에서 매우 높게 나타나 영세 소상공인에 대란 대책 강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소상공인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자금지원 확대(35.0%)이며, 차 순위로 세제지원(25.5%), 협회·상인회 등 단체 활동 지원(14.7%), 교육지원을 통한 전문성 확보(14.0%) 순으로 나타나 자금 및 세제지원 정책과 단체 등에 간접지원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기업 가운데 가장 친근하게 느껴지는 기업은 KB국민(27.0%)이며, 다음으로 NH농협(26.0%), 신한(17.4%), 삼성(14.6%) 순으로 조사됐다.

금융기업 가운데 신용거래 정책과 관련 문제가 많았던 기업으로는 롯데 및 삼성(각 21.8%, 215.%)을 꼽고 있으며, KB국민(17.0%), NH농협(12.7%) 순으로 조사됐다.

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소상공인들은 계속되는 경기침체 및 사회의 전반전인 분위기 침체로 장기불황의 늪에 빠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정책당국은 소상공인들이 생존절벽에 내몰리지 않게 소상공인 정책을 재검점해야 하며 대기업은 상생협력의 생태계기반을 조성하는데 협력해 소상공인에게 희망과 활력을 불어넣어 더불어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데 앞장서 줄 것을 호소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