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러시아가 국민들의 알코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펼쳐나가고 있다. 주류세를 인상과 동시에 광고를 금지하고 나선 데 이어 대용량 맥주의 판매를 금지시키고 있어 주류 회사들의 속앓이가 이어지고 있다고 15일(이하 현지시간) CNN은 이날 보도했다.
글로벌 맥주업체인 하이네켄은 2016년 러시아에서의 맥주 판매량이 두자릿수 이상 감소했다고 15일 밝혔다. 하이네켄은 최근 몇년 간 러시아 시장에서 힘든 시기를 겪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때문에 하이네켄은 이제 러시아에서의 사업 규모를 줄이고 대신 브라질, 남아프리카 공화국, 멕시코, 영국 등의 사업에 더욱 주력할 것이라는 입장을 보였으며, 또다른 주류 브랜드인 칼스버그 역시 러시아에서 수익이 점차 악화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CNN 머니는 전했다.
이처럼 맥주의 생산이 타격을 입는 것은 국민들의 지나친 음주를 규제하고 나선 러시아 정부의 정책들 때문이다. 앞서 취한 주류세 인상, 광고 금지에 이어 러시아는 올해부터 1.5이상의 대용량 플라스틱 맥주를 판매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나섰다.
7월에는 플라스틱 병의 맥주를 완전히 금지할 예정이다. 러시아 시장에서 맥주는 대부분 플라스틱 병에 담겨서 판매된다. 러시아 주류협회는 러시아에서 판매되는 맥주의 42%가 플라스틱 병에 담긴 제품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금지조처는 주류업체들에게 커다란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며, 칼스버그는 이 조치로 5%의 판매감소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더욱 높아진 세금과 러시아 경제 악화는 러시아에서 불법 주류 소비를 더욱 부추겨 왔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수십명이 불법주류 제조에 대한 규제를 더욱 엄격히 하도로 조치한 바 있다.
국제보건기구에 따르면 러시아 남성의 3분의 1정도는 알코올 중독증으로 고통 받고 있으며, 6명 중 1명은 알코올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명 의학잡지는 란세트(The Lancet)가 2014년 출판한 보고서에 따르면 55세 이전에 사망한 남성중 25% 정도가 지나친 음주로 인해 죽음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