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 따르면 에너지융합연구단 오시형 박사 연구팀은 서울대학교 최장욱 교수 연구진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고용량 배터리 양극재 개발에 성공했다.
차세대 양극재로 주목받고 있는 과리튬망간 전이금속 산화물(LMR) 소재는 여타 상용화 양극재보다 에너지밀도가 높고 안전한 소재이다. 하지만 충·방전 간 결정구조가 불안정해지는 현상으로 인해 상용화 적용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KIST 연구팀은 LMR 양극재 표면을 안정화하고 빠른 리튬이온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표면구조를 형성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쉽고 간편한 한 번의 공정으로 이온전도도가 높은 지르코늄 혼합산화물을 LMR 활물질 표면에 1~2 나노미터 코팅층으로 형성, 표면에서 원활한 리튬이온의 확산이 가능하게 하고 소재의 열화 현상을 억제하는데 성공한 것.
연구를 통해 개발된 ‘수 나노미터 크기의 지르코늄 함유 혼합전이금속 산화층’이 생성된 양극재는 2분 이내의 고속 충·방전을 300회 이상 실시해도 초기의 우수한 특성을 그대로 유지했다. 이는 고용량 및 고출력이 동시에 가능한 소재로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적용 시 충전 시간을 단축하고, 주행거리를 향상시키는 등 상용화에 근접한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KIST 관계자는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양극재 합성 기법 및 개선 방안은 차세대 전기차 및 중·대형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 응용 가능한 다른 핵심 전극 소재 개발에도 새로운 해법을 제시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으로 KIST 기관고유사업과 한국연구재단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나노기술 분야 국제 학술지인 'Nano Letters(IF: 12.712, JCR 분야 상위 4.00%)'에 11월 16일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