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브리핑하는 모습. 교육부는 직업계고 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산업안전보건교육과 노동인권교육을 강화한다. [사진=연합뉴스]
교육부는 직업계고 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산업안전보건교육과 노동인권교육을 강화한다고 11일 밝혔다. 직업계고는 특성화고를 비롯해 마이스터고, 일반고 직업계열이 해당된다.
직업계고 학생을 대상으로 올해부터 '성공적인 직업생활' 과목을 정규 교육과정에 도입하고, 전체 3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노동인권 및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온라인교육을 필수과정으로 운영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직업계고 학생이 공통으로 배우게 되는 '성공적인 직업생활' 과목은 근로관계법 및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내용이 대단원으로 편성돼 학생들에게 예비 직업인으로서 노동인권에 관한 소양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
교육부는 고용노동부와 협업해 현장실습을 나가기 전인 6월 말부터 9월까지 전국의 587개 직업계 고등학교에 직접 방문해 '찾아가는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찾아가는 안전교육'은 전국 27개 안전보건공단 지사의 전문 강사가 관할 지역 학교에 방문해 직군별 재해사례와 산재발생시 처리절차 등을 포함한 기본적인 산업안전보건 교육을 실시하는 프로그램이다.
직업계고 교사에 대한 산업안전보건과 노동인권 연수도 강화한다. 교육부는 직업계고 교사들의 산업안전보건 및 노동인권 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1박2일 집합연수를 대폭 확대한다.
2012년 500여 명으로 시작된 집합연수 대상을 지난해까지 3000명으로 늘렸다. 올해와 내년에는 각각 6000명으로 확대해 더 많은 교사들이 관련 역량을 키울 전망이다.
이밖에 오는 8월부터 교사 원격연수 과정을 15차시 분량으로 개설해 중앙교육연수원을 중심으로 시·도교육청 교육연수원과 연계·운영한다.
김영곤 교육부 직업교육정책관은 "직업계고 학생들이 산업현장에 진출하기 전에 산업안전보건과 노동인권에 대한 소양을 충분히 갖출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특히 학교의 예비 직업인에 대한 산업안전보건과 노동인권에 대한 교육력이 제고되도록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교사 연수 등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