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준지 의견제출 신청 및 반영 현황(상·하향) [자료제공=민경욱 의원실 ]
정부가 올해 전국 50만 필지의 표준지 공시지가를 9.42% 올린 가운데 의견청취 건수가 지난해보다 50%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견 반영률은 전체 의견 청취 건수 대비 33%에 불과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민경욱 의원(인천 연수구을)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표준지 공시지가에 대한 의견 청취 건수는 3106건으로 지난해 2081건보다 절반 가까이 증가했다. 2017년과 비교해서는 82% 늘어났다.
전체 의견 청취 건수 중 상향 의견은 770건, 하향 의견은 2336건으로 하향 의견이 3배 이상 많았다. 지역별로는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764건이 들어왔고 뒤이어 서울(408건), 경북(252건), 경남(251건), 부산(195건) 등 순이다.
국토부는 의견 청취 건수 가운데 3분의 1에 해당하는 1014건을 조정했는데 상향한 것은 372건, 하향은 642건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대전이 74건 신청에 42건이 반영돼 반영률이 56.8%로 가장 높았다. 이어 광주 51건 청취에 27건 반영(반영률 52.9%), 제주 161건 청취에 73건 반영(반영률 45.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경기도는 764건 신청에 301건 반영(39.4%)되었고, 인천은 79건 신청에 26건(32.9%)만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민경욱 의원은 "표준지 공시지가의 급격한 인상이 임대료 인상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는 만큼 정부는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