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항시청 청사 전경. [사진=포항시 제공]
이번 공청회는 관계전문가와 민간기업,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 규제자유특구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오는 7월말 지정예정인 규제자유특구의 지정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했다.
차세대 배터리 규제자유특구는 대기환경법, 국유재산법 등 관련 규정의 미비로 리사이클의 대상이 되는 전기차 배터리의 소유권을 확보할 수 없고 품질인증도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규제특례를 활용해 친환경, 안전 처리기술을 실증하고 산업화의 기반을 갖추는 것이 목표다.
경북도는 공청회 및 주민의견수렴 기간에 제출된 의견과 8일 개최되는 경상북도 지역혁신협의회 의견을 반영해 보완된 특구계획을 확정한 후 5월말 중소벤처기업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전우헌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앞으로 경북도가 규제자유특구의 선도모델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