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경상수지 흑자 전환… 상품수지는 5년4개월 만에 최저

[자료=한국은행]


지난 4월 적자를 기록한 경상수지가 5월 들어 다시 흑자로 돌아섰다. 다만 상품수지는 5년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19년 5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5월 경상수지는 49억5000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앞서 4월 경상수지는 6억6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하며 2012년 4월 이후 7년 만에 적자로 돌아선 바 있다.

5월 경상수지가 흑자로 회복한 것은 배당 지급 등 4월에 발생한 계절적 요인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배당 및 이자소득이 포함된 본원소득수지는 4월 43억3000만 달러 적자에서 5월 11억6000만 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경상수지가 흑자를 회복했지만 세부 지표는 여전히 부진하다. 상품수지는 53억9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지만, 2014년 1월(36억7000만 달러 흑자) 이후 5년 4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수출이 480억3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8% 감소한 영향이다. 특히 전기·전자제품 수출이 1년 전 대비 23.6% 줄었다. 가전제품 수출은 24.0% 늘었지만 반도체와 정보통신기기 수출이 각각 29.2%, 9.7% 감소했다. 반도체 수출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3월(036.2%) 이후 가장 크게 줄었다.

수입은 426억4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0% 감소했다. 수입보다 수출이 더 많이 줄어들며 상품수지 흑자폭이 축소됐다.

서비스수지는 9억 달러 적자를 나타냈다. 적자폭은 2016년 12월(6억6000만 달러 적자) 이후 가장 작았다. 운송수지(-1.3%)와 여행수지(-9.4%) 적자가 전년 동월대비 축소된 덕이다. 지난해 5월 운송수지와 여행수지는 전년 동월대비 각각 5.6%, 13.6% 감소했었다.

본원소득수지는 11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4월에 집중된 외국인 배당금 지급 요인이 사라진 영향이다.

이전소득수지는 6억9000만 달러 적자를 보였다.

5월 순자산은 45억5000만 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에선 내국인 해외투자와 외국인 국내투자가 각각 38억2000만 달러, 12억2000만 달러 늘었다. 증권투자는 내국인 해외투자가 26억6000만 달러, 외국인 국내투자가 35억9000만달러 각각 증가했다. 파생금융상품은 8억7000만달러 늘었다. 외환보유액에서 환율 등 비거래요인을 제거한 준비자산은 13억3000만 달러 줄었다.

한편 올해 1∼5월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155억3000만 달러를 나타냈다. 앞서 지난 4월 한은이 경제전망에서 내다본 상반기(1∼6월) 경상수지 흑자폭(245억 달러)에 89억7000만 달러 못 미치는 규모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