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열리는 아세안(ASEAN)정상회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서 한일 정상회담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그는 "시기나 장소에 대한 언급 없이 저의 기대를 말했다"고 설명했다.
일본을 방문했던 이 총리는 이날 귀국길에서 기자들을 만나 '아베 총리와의 회담에서 정상회담이 거론됐느냐'는 질문에 "정상회담에 대한 저의 기대감을 가볍게 말씀드렸다"고 답했다.
그는 아베 총리에게 "한일 관계가 개선돼서 두 정상(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이 만나면 좋지 않겠습니까"라고 전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이 아베 총리에게 전달한 친서에 11월 예정된 다자회의 계기로 한 정상회담 제안이 포함됐다'는 취지의 일본 요미우리신문 보도 내용은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이 총리는 "친서를 제가 소개해드릴 순 없다"며 "제가 실무선에서 쓴 초안 단계에서 봤을 때 숫자는 없었다. 더 말씀드리지 못하는 것도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또 "제가 알기로 요미우리는 상당히 앞서간 거 같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에게 11월 정상회담 추진을 건의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그는 "정상회담에 관해서는 제가 언급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얼음장 밑에서도 강물은 흐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24일 오후 일본 방문을 마치고 귀국하는 대통령 전용기에서 기자간담회를 하며 소감을 밝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 총리는 "현안에 관해 말씀드리면 여전히 상황은 어렵게 얽혀 있으나 제가 이틀 전 이 비행기를 타고 있었을 때에 비하면 지금 희망이 조금 더 늘었다고 말씀드릴 수 있다"고 답했다.
그는 "아베 총리가 '상황을 이대로 둬선 안 된다', '당국 간 대화를 지속해야 한다', '여러 분야의 소통이 필요하다'고 한 말씀은 약간의 변화라고 저는 받아들인다"고 평했다.
이 총리는 "그동안 비공개로, 간헐적으로 이어져 온 대화가 이제 공식화됐다"며 "아베 총리의 발언 속에서 정식으로 인정받았고 '(대화가) 지속해야 한다'고 말씀하셨으니 공식화됐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번 방일을 통해 보통의 일본 국민의 마음의 문을 조금이라도 다시 열었으면 하는 생각이 있었다"며 "그 점에서 조금의 변화라도 생길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향후 당 복귀 시점 등 거취를 묻자 그는 "저도 모르겠다"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