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해운업이 깊은 수렁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한진해운 파산에 따른 후유증이 채 가시기도 전에 미‧중 무역분쟁이 발생하면서 해운산업은 직격탄을 맞고 있다. 불황이 장기화되자 해운업에 대한 회의론도 자주 등장하고 있다. 천문학적 금액을 지원해봐야 '밑빠진 독에 물 붓기'라며 포기해야 한다는 일부 주장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해운산업을 강하게 육성해야 한다는 데 입을 모은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인 반도국가인 반면, 육로 운송은 북한에 막혀 있다. 에너지와 원자재 등 국가 필수 소비재는 바다를 통해 들여오고 있으며 수출 역시 해상운송에 의지하고 있다. 삼정KPMG에 따르면 수출입 화물의 99.7%가 바닷길을 통해 운송되고 있다.
또 해운산업은 전후방 산업과의 연계 효과가 높다. 특히 한국의 주력산업인 조선과 철강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해운산업이 활황이 이어질 경우 신규선박 발주가 증가하게 되며 이는 철강산업의 수혜로 직결된다. 반대로 해운산업이 불황이어도 튼튼한 자본력과 아낌없는 지원을 받는다면 국내 후방산업에 미치는 충격도 최소화할 수 있다.
해운산업 역시 해운업계의 직접고용, 항만하역, 조선 등 다양한 연관산업의 간접고용 창출을 지원한다. 국가 비상사태 시 해상을 통해 국가전략물자를 수송하는 국가안보산업이기도 하다.
박도휘 삼정KPMG 책임연구원은 "한국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해운산업의 위기를 방관할 수 없다"면서 "과거 한진해운 파산을 반면교사로 삼아 재발을 방지하고, 점점 실추되고 있는 한국 해운산업의 위상이 글로벌 시장에서 다시금 높아질 수 있도록 차별화된 전략과 성장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해상운송수지 현황. [자료=한국은행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