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증권업 전반 흔든다
5일 금융위원회는 정례회의에서 카카오의 자회사인 카카오페이가 바로투자증권을 인수해 증권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대주주 변경 승인안을 의결했다. 카카오는 이미 카카오뱅크를 성공적으로 안착시켰다.
카카오페이는 '카카오톡'이란 국내 최대 규모의 플랫폼, ‘모바일 온리'로 요약되는 혁신적인 서비스, 파격적인 수수료 정책 등을 무기로 경쟁했다. 그리고 이제 증권업까지 성큼 발을 들였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막대한 규모의 가입자 수와 카카오톡이란 강력한 플랫폼은 어느 증권사도 갖지 못했던 무기”라며 “카카오가 공격적으로 영업을 하면 빠르게 개인·소액 투자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특히 개인 고객 비중이 높은 키움증권은 직접적인 경쟁상대가 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카카오뱅크의 성공을 통해 얻은 브랜드 이미지도 강점이다. 주식 투자자들은 대부분 한번 선택한 주식투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편이다.
그렇지만 이미 카카오뱅크를 통해 혁신적 이미지를 얻은 만큼 충분히 타 증권사 고객을 유치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주식투자자들은 한번 익숙해진 사용자 환경을 벗어나지 않으려 한다"며 "단, 카카오뱅크를 경험한 고객은 한번쯤 카카오증권을 통해 투자하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미 업계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직원들도 많이 채용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부족한 자본력은 약점이다. 카카오페이의 자본금은 2018년 말 기준 1108억원, 바로투자증권은 지난해 9월 기준 601억원이다.
두 회사를 합쳐도 대형 증권사들과 차이가 많이 난다. 카카오페이 측이 시장 반응을 지켜보다 향후 자금 확충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거대 플랫폼 무기로 신규 수요 창출 예상도
다만 기존 증권사들이 카카오증권을 지나치게 경계할 필요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선 증권업에서 개인투자자 대상의 리테일(소매), 브로커리지(위탁매매) 매출 비중이 줄어들고 있어서다.
또 고액 자산가들도 비대면 채널을 통한 투자보다 프라이빗 뱅킹(PB) 서비스를 애용하는 추세다. 오히려 카카오증권이 기존 증권사들과 경쟁하기보다는 금융투자에 관심을 갖지 않았던 신규 고객들에 집중하게 될 거란 분석도 있다.
한 중소형 증권사 관계자는 “카카오톡, 카카오뱅크와 시너지를 갖췄기 때문에 기존에 주식이나 금융상품에 관심을 갖지 않던 사람들도 ‘해보자’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라며 “강력한 디지털 플랫폼을 갖췄기 때문에 기존 증권사들이 하지 못한 신규 수요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국내 증권사들의 디지털 전략은 해외 투자은행(IB)들보다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다. 적극적으로 디지털 플랫폼 구축에 나선 글로벌 IB들과 달리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MTS) 제공 외에는 기술 활용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자본시장연구원 집계 결과, 2017년 기준 골드만삭스, JP모건, UBS 등 글로벌 IB들은 전체 인력의 10~25%를 정보통신기술(ICT) 전문인력으로 채용하고 있다. 이에 비해 국내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는 3~5%만을 ICT 인력으로 기용하고 있으며 그마저도 대부분 전산시설 관리에 그치고 있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의 금융투자회사들은 은행이나 보험회사들보다 ICT 투자 규모가 부족하고 혁신 금융서비스에 대한 관심도 낮은 편”이라며 “글로벌 IB 사례를 참고해 자기매매와 위탁매매 부문을 중심으로 효율성 개선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