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총리, 정부 '핵심사업' 정책자문단 구성…대선 밑그림?

  • 보건의료·그린뉴딜·국민소통 특보·자문위원 9명 위촉

  • 총리, '정식 직제' 만들어 특보·자문위원 위촉은 처음

정세균 국무총리가 6일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광장에서 열린 국가 대테러종합훈련을 참관한 후 격려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차기 대권 행보를 위한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는 관측이 나와 주목을 받는다.

7일 정치권에 따르면 정세균 국무총리는 전날 정책 자문 특별보좌관·위원단(이하 특보단)을 구성했다. 총리가 정식 직제를 만들어 특보 및 자문위원을 위촉하는 것은 처음이다. 이 때문에 정 총리가 차기 대권 행보를 위한 사전작업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정 총리는 전날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보건의료, 그린뉴딜, 국민소통 등 3개 분야의 특보 3명 및 자문위원 6명에게 위촉장을 수여 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 및 민생경제 활성화 비전을 마련한다는 목적이다.

정 총리는 특보단 구성을 위해 지난 4월 총리실 직제를 개정했다.

총리실에 따르면 특보단은 국정 자문 이외 의견 수렴, 정책 홍보, 정책과제 연구 등의 활동을 한다. 특보단 연석회의는 월 1회 열릴 예정이다.

정 총리는 특보단에게 “총리의 또 다른 눈과 귀, 입이 돼 총리와 국민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잘해달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필요시에 특보단을 경제, 복지, 행정 등 다른 분야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총리실 관계자는 “과거 정치인 출신 총리들이 측근을 특보로 둔 사례는 있었지만 이처럼 정식 직제를 만든 것은 처음”이라며 “대권과는 관계없고, 방역과 민생을 동시에 잘 챙기겠다는 국정 운영 의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번 특보단 구성을 두고 정치권에서는 차기 대권을 염두에 둔 정 총리의 ‘싱크탱크’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정 총리가 내년 2~3월경 대권 행보를 위해 총리직에서 물러날 것이라는 전망도 이런 분석을 뒷받침한다.

한편 보건의료 분야의 특보는 지영미 세계보건기구(WHO) 코로나19 긴급위원회 위원. 자문위원은 윤석준 고려대 보건대학원장과 임준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장이 임명됐다.

그린뉴딜 분야의 특보는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이사리고, 자문위원은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와 신재생에너지 전문가인 한병화 애널리스트이다.

국민소통 분야의 특보는 이해찬 대표 시절 더불어민주당 정무조정실장을 지낸 한상익 가천대 부교수가 임명됐다. 또 자문위원은 김현성 전 박원순 서울시장 디지털보좌관, 민주당 서울시당에서 홍보를 담당했던 김예한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