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킥보드 이용자는 출·퇴근시간대와 여름에 가장 많이 타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씽씽]
공유킥보드 이용자 10명 중 4명은 3040세대인 것으로 분석됐다. 주 사용 시간대는 '오후 5시~8시'와 '오전 7시~10시'로, 출·퇴근시간대에 주로 몰렸다. 킥보드 이용 시간은 10분 내외로, 1~2㎞ 사이의 초단거리 목적지를 주로 이동했다.
공유킥보드 '씽씽'은 최근 1년 자사 운영 데이터 분석 결과를 이처럼 밝혔다. 18일 씽씽에 따르면 이용자 성별은 10명 중 6명이 '남성'으로 확인됐다. 사용 연령대는 20대(44.1%)가 가장 많았지만, 3040세대(30대 '21.4%', 40대 '20.1%') 사용자가 전체의 40% 이상을 차지했다. 40대 이용자는 지난 2019년 10월 씽씽의 공유 킥보드 사업 초기(14.8%)보다 비중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사용자 비중도 지난해보다 약 4% 늘었다. 젊은 세대 전유물로 여겨지던 전동킥보드가 전 세대 주요 이동수단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공유킥보드 사용은 출퇴근 시간에 몰렸다. 평일 '퇴근시간(오후 5시~8시)' 이용량은 하루 전체의 24.5%였다. 이어 '출근시간(오전 7~10시)'이 12.5%로, 6시간 사이에 전체 이용량의 약 40%가 쏠렸다. '요일별 이용량'은 대체로 비슷한 가운데, 평일이 주말보다 소폭 높았다. 월요일부터 금요일은 각각 14~16%였고, 주말은 11~13%였다. 또 '겨울'을 제외하고 계절적 차이는 크지 않았다. 여름(36.0%), 가을(29.1%), 봄(22.9%), 겨울(12.0%) 순이었다. 1인당 평균 이용 시간은 약 9.2분, 이동 거리는 1.6㎞였다.
씽씽 관계자는 “공유 킥보드는 다른 이동수단에 비해 대여와 작동이 수월하고, 가격 부담이 적어 접근성이 높다"며 "이동 혁신과 함께, 대표적인 친환경 이동수단으로서 전세대에 각광받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공유킥보드 '씽씽'은 최근 1년 자사 운영 데이터 분석 결과를 이처럼 밝혔다. 18일 씽씽에 따르면 이용자 성별은 10명 중 6명이 '남성'으로 확인됐다. 사용 연령대는 20대(44.1%)가 가장 많았지만, 3040세대(30대 '21.4%', 40대 '20.1%') 사용자가 전체의 40% 이상을 차지했다. 40대 이용자는 지난 2019년 10월 씽씽의 공유 킥보드 사업 초기(14.8%)보다 비중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사용자 비중도 지난해보다 약 4% 늘었다. 젊은 세대 전유물로 여겨지던 전동킥보드가 전 세대 주요 이동수단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공유킥보드 사용은 출퇴근 시간에 몰렸다. 평일 '퇴근시간(오후 5시~8시)' 이용량은 하루 전체의 24.5%였다. 이어 '출근시간(오전 7~10시)'이 12.5%로, 6시간 사이에 전체 이용량의 약 40%가 쏠렸다. '요일별 이용량'은 대체로 비슷한 가운데, 평일이 주말보다 소폭 높았다. 월요일부터 금요일은 각각 14~16%였고, 주말은 11~13%였다. 또 '겨울'을 제외하고 계절적 차이는 크지 않았다. 여름(36.0%), 가을(29.1%), 봄(22.9%), 겨울(12.0%) 순이었다. 1인당 평균 이용 시간은 약 9.2분, 이동 거리는 1.6㎞였다.
씽씽 관계자는 “공유 킥보드는 다른 이동수단에 비해 대여와 작동이 수월하고, 가격 부담이 적어 접근성이 높다"며 "이동 혁신과 함께, 대표적인 친환경 이동수단으로서 전세대에 각광받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