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입 품목 중에 중국산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입경쟁력 차원에서 공급망 관리가 필요한 대부분의 품목이 중국산으로 집계되면서 편중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3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의 ‘한국경제 산업 핵심물자 현황 및 시사점’에 따르면 수입의존도가 90% 이상이고 수입금액 규모가 최상위 30%에 해당하는 228개 품목에서 중국산 품목은 172개로 75.5%를 차지했다. 이어 일본산이 32개(14.0%), 미국산이 24개(10.5%)를 차지했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 안전성이 취약하다고 판단되는 133개 품목에서도 중국산 품목은 대부분(95.4%)으로 나타났다. 일본산 품목과 미국산 품목은 각각 2.3% 수준이다.
공급망 관리가 필요한 중국산 핵심 수입품목의 경우 전기제품, 기계 및 컴퓨터, 철강, 유·무기화합물, 유리, 의료용품, 비철금속 등 산업용 원자재가 주를 이뤄 국내 산업 전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망간(강철 제조 시 필수 소재), 흑연(전기차 배터리의 음극재에 활용되는 필수 원료), 마그네슘(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중요 소재) 등 관리가 필요한 대표적인 중국산 수입 품목이다.
일본산 핵심 수입 품목은 전기제품, 기계 및 컴퓨터, 석유석탄, 플라스틱, 전기제품 유기화합물 등이다. 주로 전기전자, 기계 및 컴퓨터, 석유화학 산업, 폴리이미드 필름(폴더블 디스플레이 소재), 반도체 웨이퍼를 가공하는 기계 또는 분사기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산 핵심 수입 품목은 석유석탄, 항공기, 전기제품, 과일, 기계 및 컴퓨터 등이다. 주로 항공기, 전기전자, 기계 및 컴퓨터, 석유화학, 에너지 등의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보고서는 핵심 수입품목으로 관리할 228개 품목 중에서 글로벌 공급망 안전성이 취약하다고 판단되는 133개 품목에 대해 조기경보관리 체계를 수립하고 국내 민간기업의 현장 수요를 중심으로 정부의 대처방안을 맞춤형으로 상시 조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133개 품목 중 중국산 품목은 127개, 일본산 품목은 3개, 미국산 품목은 3개다.
조기경보 체계가 필요한 중국산 수입품목은 산화텅스텐(반도체 소재), 염화칼슘, 비디오카드, 태양광 모듈, 농약 원제 등으로 나타났다. 일본산은 전하결집소자(광학 스캐너,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주요 부품), 레조르시놀(방부제·살균제로 사용되고 합성수지의 주요 원료) 등이다. 미국산은 헥사메틸렌디아민(나일론 합성 원료) 등으로 지목됐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상하이 봉쇄가 장기화되는 등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악화되고 있다”면서 “수입선 다변화, 글로벌 공급망 동맹 적극 참여 등을 통해 핵심 수입품목 중국 편중 현상을 해소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3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의 ‘한국경제 산업 핵심물자 현황 및 시사점’에 따르면 수입의존도가 90% 이상이고 수입금액 규모가 최상위 30%에 해당하는 228개 품목에서 중국산 품목은 172개로 75.5%를 차지했다. 이어 일본산이 32개(14.0%), 미국산이 24개(10.5%)를 차지했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 안전성이 취약하다고 판단되는 133개 품목에서도 중국산 품목은 대부분(95.4%)으로 나타났다. 일본산 품목과 미국산 품목은 각각 2.3% 수준이다.
공급망 관리가 필요한 중국산 핵심 수입품목의 경우 전기제품, 기계 및 컴퓨터, 철강, 유·무기화합물, 유리, 의료용품, 비철금속 등 산업용 원자재가 주를 이뤄 국내 산업 전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망간(강철 제조 시 필수 소재), 흑연(전기차 배터리의 음극재에 활용되는 필수 원료), 마그네슘(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중요 소재) 등 관리가 필요한 대표적인 중국산 수입 품목이다.
미국산 핵심 수입 품목은 석유석탄, 항공기, 전기제품, 과일, 기계 및 컴퓨터 등이다. 주로 항공기, 전기전자, 기계 및 컴퓨터, 석유화학, 에너지 등의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보고서는 핵심 수입품목으로 관리할 228개 품목 중에서 글로벌 공급망 안전성이 취약하다고 판단되는 133개 품목에 대해 조기경보관리 체계를 수립하고 국내 민간기업의 현장 수요를 중심으로 정부의 대처방안을 맞춤형으로 상시 조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133개 품목 중 중국산 품목은 127개, 일본산 품목은 3개, 미국산 품목은 3개다.
조기경보 체계가 필요한 중국산 수입품목은 산화텅스텐(반도체 소재), 염화칼슘, 비디오카드, 태양광 모듈, 농약 원제 등으로 나타났다. 일본산은 전하결집소자(광학 스캐너,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주요 부품), 레조르시놀(방부제·살균제로 사용되고 합성수지의 주요 원료) 등이다. 미국산은 헥사메틸렌디아민(나일론 합성 원료) 등으로 지목됐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상하이 봉쇄가 장기화되는 등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악화되고 있다”면서 “수입선 다변화, 글로벌 공급망 동맹 적극 참여 등을 통해 핵심 수입품목 중국 편중 현상을 해소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