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대장동·위례 개발 사업 비리 의혹'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연루된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도 함께 수사하기로 했다. 이 대표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를 앞두고 서울중앙지검으로 각종 의혹 수사가 모아지고 있다.
2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엄희준 부장검사)는 최근 수원지검 성남지청에서 백현동 의혹 일부를 이송받았다. 앞서 사건을 수사한 경기남부경찰청은 이 대표의 측근인 김인섭 전 한국하우징기술 대표를 특정범죄가중처벌법(특가법)상 알선수재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다. 이후 성남지청에서 서울중앙지검으로 넘어온 것이다.
'백현동 특혜 개발 의혹'은 부동산 개발회사 아시아디벨로퍼가 용도를 한 번에 자연보건녹지지역에서 준주거지역으로 상향 변경하는 과정에서 특혜를 받았다는 내용이다. 김씨는 이 대표가 2006년 성남시장 선거에 나왔을 때 선거대책본부장으로 활동했다. 김씨는 2015년 1월 아시아디벨로퍼에 영입됐고, 김씨가 용도변경을 하는 과정에서 모종의 역할을 하는 대가로 70억원을 챙겼다는 게 경찰 수사 결과다.
경찰은 백현동 사건과 관련해 이 대표와 정진상 전 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등을 특가법상 알선 및 업무상 배임 혐의로 수사하고 있다. 이 사건들도 내부 협의를 거쳐 서울중앙지검에 오는 27일 안으로 이송될 예정이다.
이 대표는 해당 사건과 관련해 허위 발언을 한 혐의(공직선거법 위반)로 지난해 9월 재판에 넘겨졌다. 이 대표는 2021년 10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국토부가 용도변경을 요청했고, 공공기관 이전 특별법에 따라 저희가 응할 수밖에 없었다"며 "국토부가 직무유기를 문제 삼겠다고 협박했다"고 이 결정이 자의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검찰은 이 대표가 성남시장으로서 백현동 부지 용도변경에 개입한 것으로 보고 재판에 넘겼다.
검찰 관계자는 "대장동 개발사업의 인허가 최종 결정권자는 당시 성남시장"이라면서 "(해당 의혹은) 전체적으로 보고 받고 승인받는 과정이라고 보면 된다"고 전했다. 이어 해당 관계자는 '이틀 조사를 거부하는 이 대표 측이 밤샘 조사를 제안하면 수용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충분히 조사가 되는 방향으로 진행하겠다"고 답했다.
이날 검찰 관계자는 이 대표 조사를 이틀 앞두고 "대장동 의혹 관련해 배임 혐의 조사도 진행하고 있다"며 "얼마를 가져온게 중요한 게 아니라, 최소한 얼마를 확보했어야 했는데 민간에 특혜를 제공한 것인지가 쟁점"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충분히 조사가 되는 방향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백현동 특혜 개발 의혹'은 부동산 개발회사 아시아디벨로퍼가 용도를 한 번에 자연보건녹지지역에서 준주거지역으로 상향 변경하는 과정에서 특혜를 받았다는 내용이다. 김씨는 이 대표가 2006년 성남시장 선거에 나왔을 때 선거대책본부장으로 활동했다. 김씨는 2015년 1월 아시아디벨로퍼에 영입됐고, 김씨가 용도변경을 하는 과정에서 모종의 역할을 하는 대가로 70억원을 챙겼다는 게 경찰 수사 결과다.
경찰은 백현동 사건과 관련해 이 대표와 정진상 전 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등을 특가법상 알선 및 업무상 배임 혐의로 수사하고 있다. 이 사건들도 내부 협의를 거쳐 서울중앙지검에 오는 27일 안으로 이송될 예정이다.
이 대표는 해당 사건과 관련해 허위 발언을 한 혐의(공직선거법 위반)로 지난해 9월 재판에 넘겨졌다. 이 대표는 2021년 10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국토부가 용도변경을 요청했고, 공공기관 이전 특별법에 따라 저희가 응할 수밖에 없었다"며 "국토부가 직무유기를 문제 삼겠다고 협박했다"고 이 결정이 자의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李소환 D-2...檢 "사안 규명 위해 노력"
한편 이 대표는 오는 28일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한다. 구체적인 출석 시간과 조사 횟수에 대해선 정해지지 않았다. 이 대표 측은 오전 10시 30분에 출석한다고 하지만, 검찰은 오전 9시 30분부터 조사를 시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검찰은 "피조사자 측에서 일방적으로 조사 시점을 지정하는 건 이례적"이라며 불쾌한 기색을 드러냈다. 검찰 관계자는 "대장동 개발사업의 인허가 최종 결정권자는 당시 성남시장"이라면서 "(해당 의혹은) 전체적으로 보고 받고 승인받는 과정이라고 보면 된다"고 전했다. 이어 해당 관계자는 '이틀 조사를 거부하는 이 대표 측이 밤샘 조사를 제안하면 수용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충분히 조사가 되는 방향으로 진행하겠다"고 답했다.
이날 검찰 관계자는 이 대표 조사를 이틀 앞두고 "대장동 의혹 관련해 배임 혐의 조사도 진행하고 있다"며 "얼마를 가져온게 중요한 게 아니라, 최소한 얼마를 확보했어야 했는데 민간에 특혜를 제공한 것인지가 쟁점"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충분히 조사가 되는 방향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