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전북도]
김 지사는 이날 수자원공사 및 농어촌공사 지사장 등 유관기관과 도 실·국장, 정읍·김제·부안 부단체장이 참석한 가운데 섬진강댐 물문화관에서 가뭄 대책 합동회의를 개최하고, 도민 피해 최소화를 위한 방안과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유지하는 등 가뭄 대응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강조했다.
섬진강댐 현장을 둘러본 김 지사는 “직접 현장에 와보니 저수율이 평년 대비 절반 정도인 19.6%로 매우 낮아 섬진강댐 용수 공급지역인 정읍의 생활용수와, 정읍, 김제, 부안 지역 농업용수 가뭄 상황이 심히 우려된다”고 말했다.
도에 따르면 최근 6개월간 전북의 강수량은 457.9㎜으로 평년 대비 72.1% 수준이다.
특히 행안부의 2월 기준 가뭄 예‧경보 발표에 따르면 전북지역은 농업용수 가뭄에 정읍(관심), 김제·부안(주의), 생공용수 가뭄에 정읍(경계), 기상 가뭄에는 순창·고창(관심)이 포함됐다.
김관영 지사는 “6월 말 우기철 이전까지는 가뭄이 지속될 우려가 높은 상황으로 도와 시·군, 유관기관의 유기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오늘 회의에서 논의된 기관별 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가용가능 한 재원과 장비는 물론 행정력을 총동원해 식수와 농업용수 부족으로 인한 도민의 불편함이 없도록 꼼꼼한 급수 대책을 추진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사진=전북도]
영농기 대비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올해 가뭄대책 사업비 60억원 투입해 관정 631공, 둠벙 15개소를 상반기 안에 준공할 계획이다.
지난해 12월 확보한 행안부 재난안전특별교부세(36억6000만원)를 가뭄 지역 7개 시·군에 교부해 저수지 준설 및 관정 개발 등을 3월까지 완료토록 할 예정이다.
또한 농어촌공사에서는 섬진강댐 공급지역인 동진유역(김제·정읍·부안)의 영농철(4~6월)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하천, 저수지 양수‧저류 등을 통해 총 4700만t을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생공용수 확보를 위해 수자원공사에서는 저수율이 낮은 섬진강댐 용수 비축을 위해 댐 하류 하천유량과 연계하고, 용담댐과 부안댐에서 대체 공급하는 등 총 880만t을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