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도체 시장 재편에 대만ㆍ베트남 웃었다···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껑충'

대만과 베트남이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중국 입지 약화에 따른 반사이익을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국제무역센터(ITC) 통계 자료를 토대로 2018년과 2022년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 내 주요 국가 점유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대만의 점유율은 9.5%에서 19.2%로 9.7%포인트 상승했다. 점유율 순위도 기존 4위에서 1위에 올랐다.

2018년 점유율 2.5%로 8위에 그쳤던 베트남은 2022년 9.8%의 점유율로 5위를 차지했다.

20년 넘게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해온 중국은 2018년 점유율 30.2%에서 11.7%로 떨어졌다. 점유율 순위 역시 1위에서 4위로 밀려났다.

한국의 경우 2017년 3위로 올라선 이후 꾸준히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대만의 점유율 급상승으로 양국 간 격차는 6.6%포인트 벌어졌다.

전경련은 "대만과 베트남은 미국의 반도체 최대 수입 품목인 컴퓨터 등 부품에서 점유율을 늘리며 반사 이익을 누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 품목에서 미국의 대중국 수입액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960억7000만 달러, 약 58%가량 감소했는데 같은 기간 대만은 750억6000만 달러, 베트남은 350억1000만 달러씩 대미 수출이 늘었다.

아울러 전자집적회로와 LED 및 태양전지·태양광 모듈 등에서도 수출을 늘렸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우리 정부가 첨단전략산업 시설투자 세액공제 확대, 투자 인허가 처리 신속화 등 국내 투자환경 개선에 박차를 가하는 만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활용해 국내 반도체 생산 기반을 강화하고 반도체 수출 품목을 다변화하는 전환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라인 내부 [사진=삼성전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