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주요 나라들이 전기차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럽연합(EU), 영국에 이어 캐나다 정부는 2035년부터 자국 내 신차 판매를 전기차 등 무배출차(ZEV)로 100% 의무화하는 정책을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다.
블룸버그통신, 토론토스타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익명의 캐나다 정부 고위 관계자들을 인용해 2035년부터 캐나다에서 내연기관차 판매가 원천 차단된다고 보도했다.
새 규정은 전기차, 수소차, 플러그인 전기차를 포함한 ZEV를 2026년에 전체 신차 판매의 20%로, 2030년에는 60%, 2035년에는 100%로 규제하는 게 골자다.
전기차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캐나다 정부는 전기차 전환 관련 보조금 정책을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가 이동 중에도 차량을 쉽게 충전할 수 있도록 공공 고속 충전기 구축을 서두를 방침이다. 캐나다 정부는 2029년까지 8만4500개에 달하는 충전기를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내걸고 있다.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캐나다 전역에서 판매되는 신차 8대 중 1대는 전기차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이다. 판매 차량의 일정 비율을 전기차로 팔도록 의무화하는 지역에서는 전기차 판매 비중이 훨씬 높다. 퀘벡에서는 신차 5대 중 1대가 전기차다.
세계 주요 정부들은 전기차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EU와 영국은 2035년까지 휘발유 및 경유 신차 판매를 완전히 금지하는 규제를 이미 도입했다.
미국에서는 9월을 기준으로 뉴욕과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12개 이상의 주가 전기차 판매 의무 규정을 시행하고 있다. 아울러 미국은 지난 4월 ‘차량 배기가스 배출 기준’을 통해 신차 판매에서 전기차 비중을 2032년까지 62%로 끌어올리는 계획을 발표했다.
해당 규제안은 신차 및 트럭의 배기가스 배출 허용량을 연평균 13%씩 6년간 단계적으로 줄이는 게 골자다. 전기차 판매 비중을 의무화하진 않으나, 이 기준을 충족하려면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전기차 전환을 서두를 수밖에 없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