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유럽연합(EU)에서 수입하는 상품에 10%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고 영국 텔레그래프지가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와 가까운 한 소식통은 "아직 폭넓은 합의는 없지만, 일부는 EU에 10% 관세를 매기기를 원한다"며 "그들은 모든 EU 수입품에 부과하는 것에 대해 말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EU에 대한 관세는 확실히 시행될 것"이라고 밝히며 EU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을 재확인했다. 이어 EU와의 무역 거래에서 3500억 달러(약 513조원) 이상 적자를 보고 있다며 "EU는 미국산 차, 농산물 등 아무것도 가져가지 않지만 우리는 EU로부터 수백만 대의 차, 엄청난 양의 농산물을 사들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EU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한다면 보복 관세로 맞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협상이 실패해 트럼프 행정부가 EU에 대한 관세를 부과한다면 EU가 50%의 보복 관세로 대응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EU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EU산 철강 제품에 25%, 알루미늄에 대해 10%의 관세를 부과하자 위스키, 오토바이, 청바지 등 미국산 수입품에 보복 관세로 대응했다.
FT는 "EU 당국자들이 지난해 여름부터 트럼프발 무역 전쟁에 대비한 비상 계획을 짜기 시작했다"며 액화천연가스(LNG) 같은 더 많은 미국 상품을 수입해 미국의 무역적자를 줄이는 협상을 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EU 집행위원회는 협상에 실패할 때를 대비해 50% 이상 관세를 부과할 미국산 수입품의 목록을 작성하는 데 수개월을 보냈지만 트럼프 대통령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세부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다만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미 여러 차례 관세 부과를 연기한 만큼 EU에 부과하는 관세도 연기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전날 골드만삭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가 '일시적 조치'가 될 가능성이 있다며 관련 국가와 협상으로 관세가 시행되기 전 연기될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캐나다와 멕시코에 부과했던 25% 관세도 양국 정상과 통화 이후 한 달간 유예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