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 데이터 포털 개방 데이터가 10만건을 넘어섰다. 공공 데이터 포털은 국민과 기업이 공공 데이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각 기관이 개방하는 데이터를 통합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1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공공 데이터 포털을 개시했던 2013년 개방 건수는 554개로 12년 만에 약 20배 증가했다.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국회 등 1100여개 기관 데이터 개방 노력이 뒷받침된 결과다.
가장 많이 개방된 분야는 공공행정(14.9%), 문화관광(12.1%), 산업고용(9.3%), 교통물류(8.3%), 환경기상(7.8%) 순이다.
가장 많이 활용된 데이터는 연속지적도, 환율 정보, 대기오염정보, 시군구 정보, 단기예보, 특일(국경일·기념일 등) 정보, 자동차 종합정보, 교통CCTV 등이다.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만들어진 모바일 앱·웹 서비스는 총 3131개다. 해마다 200~300개씩 증가하고 있다.
행안부는 인공지능(AI) 시대 수요를 충족하는 데이터와 기관 핵심데이터를 개방하는 등 질적 측면의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을 강화한다. AI 서비스 개발에 적합한 양질의 공공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AI 친화적인 공공데이터 개방과 활용 환경 조성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