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업계는 자동차 부품의 현지화 비율을 미국이 '2차 압박' 카드로 활용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때도 특정 자동차 부품 수입이 미국 안보에 위협이 된다며 관세 인상을 요구한 바 있다. 완성차에 이어 부품까지 관세가 확대되면 아직 현지화 생산 체계를 구축하지 못한 중소업체들이 아사(餓死) 직전에 몰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이 분석한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자동차 부품 수출액 225억4700만 달러 가운데 대미 수출액은 82억2200만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자동차 부품 대미 수출액은 2021년 69억1200만 달러에서 2022년 80억3000만달러, 2023년 80억8700만달러로 매년 증가 추세다.
전체 자동차부품 수출액 가운데 1위는 대미 수출로, 비중은 36.5%에 달했다. 이어 유럽연합(17.3%)이 38억9000만달러, 멕시코(9.5%) 21억5300만달러 등으로 각각 2위, 3위에 올랐다. 이밖에 중국(6.4%) 14억5400만달러, 아세안(5.8%) 13억100만달러, 인도(4.1%) 9억2100만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계는 미국이 완성차에 이어 부품에 별도로 관세를 부과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2019년 "수입차가 미국 안보를 위협한다"면서 자동차와 특정 부품의 수입 관세 부과를 검토한 바 있다. 부품 관세 부과가 현실화되면 미국 생산능력을 보유한 일부 부품기업만 살아 남고, 현지 진출 여력이 없는 대부분의 2·3차 협력사는 일감이 줄어들수 밖에 없다. 업계는 국내 8800여곳의 중소 부품사들이 연쇄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부품업계 관계자는 "만약 미국이 완성차 업체에 현지 생산 뿐 아니라 부품 현지화 비율까지 높이라고 요구한다면 국내에 있는 2·3차 부품사들은 매우 어려워질 것"이라며 "북미에 진출할 수 있는 부품사들이 극히 일부분인 상황에서 생산기반이 대거 미국으로 넘어가면 한국 부품망 공급은 물론, 고용창출 능력도 붕괴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부품사 가운데 북미 현지화에 성공한 기업은 한국타이어, HL만도, 한온시스템, 현대모비스 등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업계에선 '미중 무역갈등'을 대미 협력의 툴로 활용해 한국이 중국의 대체지로 활약할 수 있다는 점을 미국에 적극 어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부품사 관계자는 "트럼프 1기 때도 중국 부품에 미국이 60% 관세를 부과하면 공급망이 한국으로 대체된다는 분석이 있었다"면서 "미국과 한국의 공급망 보완 관계를 명확하게 분석해 관세를 면제받기 위한 전략을 (정부가)제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