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출생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로 올해 문을 닫을 예정인 초·중·고교가 전국에 총 49곳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지방 학교가 43곳으로 전체 중 88%에 달했다.
23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폐교 현황'에 따르면 올해 폐교 예정인 초·중·고교는 49곳이다.
이는 지난 5년간 각 시도교육청이 매년 취합한 폐교 수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다. 2020년 총 33곳이던 폐교는 2021년 24곳, 2022년 25곳, 2023년 22곳으로 주춤하다 지난해 33곳으로 급증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은 한 곳도 없었고, 경기에선 6곳이 폐교 예정인 것으로 집계됐다.
최다 폐교 예정지는 전남(10곳)이었고, 그다음으로 충남(9곳), 전북(8곳), 강원(7곳) 순이었다. 특별·광역시 중에서는 부산(2곳)과 대구(1곳)가 포함됐다.
학교급별로 보면 폐교 예정 49곳 중 초등학교가 38곳으로 파악됐다. 중학교는 8곳, 고등학교는 3곳이다.
초등학교 입학 일자가 다가오는 가운데 지난해 입학생이 없었던 전국 초등학교는 총 112곳(휴교·폐교 제외)으로 집계됐다.
작년 4월 기준 '신입생 없는 초등학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북이 34곳으로 가장 많았다. 경북(17곳), 경남(16곳), 전남·충남(각 12곳), 강원(11곳)이 뒤를 이었다.
올해는 신입생을 받지 못하는 초등학교 수는 더 증가할 전망이다.
각 시도교육청이 이번 달 초·중순 취합한 현황을 보면 경북만 무려 42곳에서 입학생을 받지 못할 것으로 추정됐다.
전남 32곳, 전북 25곳, 경남 26곳, 강원 21곳 등 올해도 주로 지방에서 '1학년 없는 초등학교'가 속출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