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가 현실화되면 조선업계의 선박 가격 상승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지난 20일 중국산 후판의 덤핑 행위로 인해 국내 산업이 피해를 보고 있다고 보고 27.91~38.02%의 예비 반덤핑 관세를 부과해 달라고 기획재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기재부가 이를 받아들이면 1~2개월 내로 관세가 부과된다.
두께 6㎜ 이상의 철판을 뜻하는 후판은 선박 제조 원가의 20%를 차지한다.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 관세로 인해 국내 조선사들의 수익성이 떨어질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는 점도 바로 이 때문이다.
국내 대형 조선업체들의 중국산 후판 사용량은 전체의 20% 수준으로 파악된다. 중소 조선사들의 경우 비용 절감을 위해 중국산 후판 사용 비중이 무려 50∼7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번 반덤핑 관세 부과로 조선업계 선박 단가가 최소 10% 이상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조선업계 평균 영업이익률이 최대 5%가량임을 고려하면 사실상 영업이익이 대부분을 상쇄하는 셈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기업들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서 후판 가격 상승으로 가격 경쟁력마저 잃게되면, 국내 선사들이 설 자리는 없어질 것”이라며 “10여년간의 불황을 끝내고 이제야 날아오르려는 조선업계에 이번 반덤핑 조치는 찬물을 끼얹는 격”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보복관세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중국이 우리 정부의 반덤핑 관세 부과에 보복관세로 맞대응할 경우 조선업계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이 위태로워질 수 있어서다. 이미 중국은 미국의 추가관세 움직임에 즉각 보복관세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일각에선 국내 석유화학 산업에 후판 반덤핑 관세 불똥이 튈 수 있단 시선도 있다. 석유화학산업이 중국 의존도는 낮지만, 수출 비중이 높아 관세를 부과할 경우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아직까진 중국의 보복관세 움직임이 보이진 않고 있지만, 추가 관세 조치가 없을 것이라 안심하긴 이르다”며 “중국 일부 언론에서도 한국의 관세에 대해 더 높은 비용 압박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언급되고 있는 만큼, 국내 산업계는 물론 정부가 이 같은 움직임에 발 빠르게 대응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