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양자산업은 물론 양자 기초기술 전반을 담당하는 조직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에 신설된다.
그동안 임시조직으로만 존재했던 양자기술 담당 조직이 정식으로 출범하면서, 지속적인 양자산업 육성은 물론 안정적인 양자기술 지원도 한층 수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24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양자혁신기술개발과’를 신설한다.
당초 국가 양자기술 육성은 2020년대 초반까지 과기부 1차관 산하 연구개발정책실에서 원천기술을, 2차관 산하 네트워크정책실에서 양자통신과 양자센서 등 연구개발(R&D) 사업을 지원해왔다. 2022년 이종호 전 과기부 장관 취임 후, 업무 효율화를 위해 분할된 양자지원 조직을 통합하고 장관 직속 조직으로 편입시켰다.
다만 장관 직속 조직은 유효기간이 2년으로 한정돼 있어, 유상임 장관의 결정에 따라 행안부와 협의 후 정식 부서를 신설하게 됐다.
양자기술을 담당하는 과기부 내 조직이 신설됨에 따라 양자기술에 대한 국가 차원의 ‘거버넌스(governance)’가 확립됐다는 것이 과기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또 그동안 임시조직 형태로 인해 예산 책정 등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제는 독립된 조직으로 양자기술 지원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됐다.
과기부 관계자는 “양자혁신기술개발과 신설로 당장 예산이 늘거나 큰 변화가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정부의 지속적인 양자기술 지원이 수월해질 것”이라며 “안정적인 조직이 확립됐다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이번 조치는 최근 국내 기업과 연구기관들이 양자기술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며 양자기술 지원의 필요성과 글로벌 시장에서 가능성을 확인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자체적으로 20큐비트 성능의 양자컴퓨터 개발에 성공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정밀도를 가진 양자중력센서도 구현했다. 또한, SK텔레콤과 KT 등 국내 이동통신사들은 양자암호통신과 양자내성암호 분야에서 글로벌 선두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