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뉴욕증시가 24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기술주 매도세가 이어지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와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3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면치 못한 반면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반등에 성공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 대비 33.19포인트(0.08%) 오른 4만3461.21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29.88포인트(0.50%) 밀린 5983.25를 기록했다. 나스닥지수는 237.08포인트(1.21%) 낮은 1만9286.92로 마감했다.
장 마감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 한 달 유예 조치 기한이 다음 주로 종료되면, 예정대로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후 다우지수는 상승폭을 좁히고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낙폭을 늘렸다. 특히 S&P500과 나스닥은 사흘을 내리 떨어졌다.
이날 인공지능(AI), 에너지 관련 주는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최소 두 곳의 민간 데이터센터 운영자와 수백 메가와트 규모의 임대 계약을 해지했다는 소식이 주가를 끌어내렸다.
먼저 마이크로소프트 주가는 1.03% 하락했다. 파죽지세의 상승세를 이어가던 AI 기반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업체 팔란티어 주가에는 급제동이 걸렸다. 팔란티어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10.53% 급락했다.
반도체 설계기업 브로드컴 주가는 4.91%, 세계 최대 파운드리 대만반도체제조회사(TSMC)는 3.32%, AMD 2.46%, 인텔 2.41%, 퀄컴 2.62% 각각 떨어졌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2.59% 내렸다.
실적발표를 이틀 앞둔 엔비디아 주가는 3.09% 밀렸다. 엔비디아는 오는 26일 장 마감 후 자체 2025년 회계연도 4분기(11월~1월) 실적을 공개한다.
대형 기술주 그룹 ‘매그니피센트 7’(M7) 중 애플만 주가가 0.63% 상승했다. 구글 모기업 알파벳(0.23%)·테슬라(2.15%)·아마존(1.79%)·페이스북 모기업 메타(2.26%)는 하락했다.
또 전력 공급업체 비스트라 주가는 5.11%, GE 버노바는 3.65%, 콘스텔레이션 에너지는 5.88% 급락했다.
S&P500을 구성하는 11개 업종 가운데 필수소비재(0.1%)·에너지(0.11%)·금융(0.45%)·헬스케어(0.75%)·부동산(0.35%) 5개 종목이 올랐다. 반면 임의소비재(0.87%)·산업재(0.44%)·소재(0.18%)·테크놀로지(1.43%)·통신서비스(0.63%)·유틸리티(0.51%) 6개 종목이 내렸다.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 Group)의 페드워치(FedWatch) 툴에 따르면 이날 장 마감 시간 기준, 연준이 올해 상반기에 기준금리를 25bp(1bp=0.01%) 이상 인하할 확률은 62.9%, 동결 가능성은 37.1%로 반영됐다.
국제 유가는 나흘 만에 반등했다. 미 재무부와 국무부는 이란 석유 수송에 관여한 이란과 중국, 인도,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개인, 법인, 선박 등을 제재했다. 이에 다라 공급 불안 우려가 재발했다.
국제 유가 기준물인 브렌트유는 근월물인 4월 물이 전장 대비 0.35달러(0.47%) 상승한 배럴당 74.78달러로 장을 닫았다. 미국 유가 기준물인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4월 인도분이 0.30달러(0.43%) 오른 배럴당 70.70달러로 거래를 마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