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입시와 고교 교육 연계성을 확대해 수험생에게 대입 준비 부담을 낮춰준 80개 대학에 정부가 585억원을 지원한다. 특히 전형 개선에 나선 수도권 대학들은 40% 이상 선발해야 하는 정시 비중을 30%로 낮출 수 있다.
교육부는 5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2025∼2026년 고교교육 기여 대학 지원사업안'을 확정·발표했다.
이 사업은 대입 전형과 고교 교육과정 간 연계성, 대입 공정성·책무성을 높인 대학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4주기 사업으로 신규로 80개 내외 대학을 선정해 2년간 지원한다.
이번 사업은 기본사업과 자율공모사업으로 나눠 실시된다. 기본사업은 약 80개교에 521억원을, 자율공모사업은 약 16개교에 57억원의 예산을 별도로 지원한다.
기본사업은 고교교육과 대학 간 연계를 확대하는 대학에 지원된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인재상을 반영해 대입전형을 운영하고 특히 2028 대입개편안 취지를 반영한 전형 설계를 하도록 했다.
입시설명회, 상담 등을 통해 대입 정보 접근성을 제고하는 한편 공교육 범위 내 대학별 고사 출제 등을 통한 사교육 부담 완화 노력을 유도하는 방안도 담겼다.
또 기회균형·지역균형 선발 등 법령상 의무 선발 비율 준수를 유도해 대학 입학생 다양성을 지속해서 확대하도록 했다. 블라인드 평가, 이해관계자 회피·배제, 퇴직 입학사정관 학원 취업 제한 제도의 실효성 확보 등 대입 전형 운영의 공정성 확보도 평가 대상이다.
기본 사업 외에 자율공모사업을 추가로 시행하는 대학은 △입학사정관 교육·훈련 △교육과정 직접 지원 △전형 운영 개선(2022 개정 교육과정 연계성 제고 등) △대입정보 제공 확대 등 4개 기준으로 선정된다. 자율공모사업 선정된 대학은 교당 기본 사업비 대비 약 55%(총 사업비 중 10%)를 추가적으로 지원받게 된다.
특히 '전형 운영 개선' 분야에서 선정되면 '정시 40%룰'을 적용받는 서울 16개 대학은 정시 수능위주전형 비중을 30% 이상으로 완화할 수 있다. 고교학점제가 적용되는 올해 고1이 치르는 2028학년도 대입부터 적용된다.
이주희 교육부 인재정책기획관은 "2025∼2026년은 대학이 2028 대입개편안 취지를 반영해 새로운 전형 설계를 준비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각 대학이 고교 교육으로 준비할 수 있는 대입전형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