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그룹은 28일 서울 코엑스에서 국내외 개발자들을 초청해 개발자 콘퍼런스 '플레오스(Pleos) 25'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현대차는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개발 현황과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기반 앱 생태계 조성 방안 등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의 기조연설자로 나선 송창현 현대차·기아 AVP본부장(사장)은 '플레오스 커넥트(Pleos Connect)'를 공개했다. 기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인 ccNC의 뒤를 잇는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모바일과 차량 간 연결성을 강화해 사용자가 익숙한 앱과 콘텐츠를 차량에서도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현대차그룹은 플레오스 커넥트의 핵심 기능으로 차량용 앱 마켓을 내세웠다. 말 그대로 SDV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특화 앱들이 업데이트되는 플랫폼을 출시하겠다는 목표다. 현대차는 오는 2026년 2분기 출시되는 신차부터 플레오스 커넥트를 순차 적용할 예정인데, 현대차표 앱 마켓 역시 이 즈음에 공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송 사장은 "모바일 생태계에는 혁신을 이끌어온 기업들이 많다"며 "우리는 그러한 파트너들과 함께 새로운 현실을 만들고자 한다. 모바일의 경험이 자동차에서도 자연스럽게 이어지기를 바라며, 사용자들이 차량 내에서도 원하는 경험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앱 마켓을 구축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차량의 정보와 데이터들이 연결되면서 새로운 '킬러 앱'들이 탄생하고 더 큰 가치의 서비스들이 만들어질 것으로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완성차 업체가 앱 마켓을 출시하는 것이 최초는 아니다. 중국 니오, 독일 폭스바겐 등이 자체 앱 마켓을 자사 브랜드 차종에 탑재한 바 있다. 다만 현대차는 앱 마켓을 통한 차량용 앱 생태계 조성을 SDV 전략 가속화의 핵심 전략으로 택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만일 현대차가 해당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낸다면, 모바일 앱 마켓 시장의 강자인 구글·애플만큼이나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전망이다.

현대차는 이에 맞춰 이날 콘퍼런스에서 새로운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인 '플레오스 플레이그라운드'를 이날 공개했다. 이를 토대로 모바일 앱 개발자 누구나 손쉽게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목표다.
이곳에서는 자동차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도구와 정보를 통합해 제공한다. 개발자는 차량과 클라우드, 모바일 환경에 연결된 소프트웨어 개발 정보를 활용해 자유롭게 앱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차량용 OS(AAOS)가 제공하는 기본 개발 도구는 물론 플레오스만의 확장 기능과 서비스를 포함한 소프트웨어개발키트(SDK), 디자인 가이드,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 문서, 샘플 코드 등도 함께 제공돼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