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저탄소 알루미늄 1만5000톤 확보…탄소중립 '한 걸음 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선훈 기자
입력 2025-04-02 1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현대모비스
[사진=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가 태양광으로 만든 저탄소 알루미늄을 올해부터 주요 부품 제조에 선제적으로 적용한다. 오는 2045년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이행 계획의 일환이다.

현대모비스는 글로벌 알루미늄 생산 기업인 에미리트 글로벌 알루미늄(EGA)과 계약을 체결하고, 저탄소 알루미늄 1만5000톤을 확보했다고 2일 밝혔다. EGA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규모의 알루미늄 생산 업체로, 현대모비스가 이번에 확보한 알루미늄은 태양광으로 만든 저탄소 알루미늄이다.

현대모비스가 확보한 저탄소 알루미늄 1만5000톤은 연간 소요 물량으로 약 620억원 규모다. 현대모비스가 지난해 구매한 알루미늄(일반)은 총 6만7000톤으로 이번에 확보한 저탄소 알루미늄 물량은 지난해 전체 물량의 20%가 넘는 규모다.

알루미늄은 전기차 등 모빌리티 경량화를 위한 핵심 원소재다. 특히 저탄소 알루미늄은 제조 과정에서 탄소를 적게 배출하기에 친환경 소재로 꼽힌다. 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1톤을 생산할 때 정련과 제련, 주조 등의 제조 과정에서 약 16.5톤 가량의 탄소가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에 EGA가 태양광 에너지를 활용해 생산하는 알루미늄 제품의 경우 탄소 배출량이 4톤 수준으로 줄어든다.

현대모비스는 저탄소 알루미늄을 섀시 등 주요 부품 제조에 활용해 각국 정부의 환경 법규 대응에도 선제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특히 내년부터 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전면 시행하는데, 현대모비스는 이를 통해 법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전망이다. 탄소국경조정제도는 유럽 역내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탄소 배출량을 산정해 비용을 부과하는 제도로 탄소 집약적 제품인 철강, 알루미늄, 전기, 비료, 시멘트, 수소 등 6개 품목이 대상이다.   

현대모비스는 저탄소 알루미늄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ESG 경영 강화와 탄소중립 목표 실현을 위한 구체적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다. 회사는 이번에 공급 계약을 체결한 EGA와 올 상반기 중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해 지속적으로 저탄소 알루미늄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선우 현대모비스 구매담당(전무)은 "친환경적인 공급망 구축으로 글로벌 환경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공급망 단계부터 탄소 감축 노력을 구체화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