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보훈부(장관 강정애)는 취약계층 국가유공자의 사회적 고립과 고독사 예방을 위해 ‘국가유공자 고독사 예방 종합대책’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2일 전했다.
고독사 위험 국가유공자 관리 대상 확대와 위험군 분류체계를 세분화하고, 냉장고 등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실시간 안부 확인 서비스를 시범 도입한다.
보훈부는 우선 1인 가구이면서 경제적으로 취약하고 보훈돌봄서비스 미수혜자이면 나이와 관계없이 고독사 예방 관리 대상으로 챙기기로 했다. 기존엔 65세 이상만 관리 대상이었다. 이에 따라 관리 대상 국가유공자는 6600여명에서 8500여명으로 늘어난다.

보훈부는 또 관리대상 국가유공자의 위험도를 장애 정도와 전쟁 트라우마, 사회적 관계 등을 토대로 4단계로 나눈 뒤 가장 위험도가 높은 이들에게는 올해 처음으로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실시간 안부 확인 시범사업이 진행된다.
TV 등 가전제품 사용 여부를 알 수 있는 전력량 정보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거나, 현관문과 화장실, 냉장고 등에 문 열림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안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혹한기와 혹서기처럼 외부 활동이 어려운 시기에는 27개 지방보훈관서가 고독사 고위험군·중위험군 국가유공자 자택을 찾아가 안부를 직접 확인하고 계절 나기 물품을 지원할 예정이다.
보훈부는 이와 함께 국가유공자 고독사 예방정책 수립·시행에 필요한 국가유공자법 등 관련 법령 개정도 추진한다.
강정애 보훈부 장관은 “국가유공자의 고령화를 비롯한 1인 가구 증가로 인한 고독사 문제 등 보훈 복지 환경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라며 “이번 ‘국가유공자 고독사 예방 대책’이 이러한 변화에 맞춰 보훈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분들께 한 차원 더 높은 수준의 보훈 복지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살피겠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