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은 작년 3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을 계기로 유럽 안보에 있어 역할이 증가하고 있는 스웨덴에서 국방 분야 고위급 인사들과 만나 방산 협력 강화방안을 논의했다
2일 방사청에 따르면 석 청장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폴 욘슨 국방장관 면담에서 스웨덴의 재무장 계획을 청취하고 고위급 교류를 활발히 이어나가기로 했다.
이어 국방획득사업을 관장하는 예란 모르테손 국방물자청장과의 면담에서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M-SAM Ⅱ)와 국산 다연장 로켓 천무 등 우리 무기체계를 활용한 종합적인 해결책을 제안했다.
아울러 인공지능(AI)과 로봇, 우주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방산 분야에 적용하는 공동 연구개발을 추진하기로 합의하고, 이를 위해 올해 방산군수공동위원회를 개최해 논의 내용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이번 방문은 유럽 국가들의 역내에서 자체 무기체계를 조달하려는 기조가 강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EU 재무장 계획에 대응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방사청은 나토와 EU 회원국과의 방산협력 강화를 2025년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삼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비동맹 중립 노선을 유지해오던 스웨덴은 2022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을 계기로 나토 가입을 신청했고, 지난해 3월 32번째 나토 회원국이 됐다.
석종건 방사청장은 “스웨덴은 우수한 방산기업을 가진 유럽의 방산 선진국으로서, 이번 면담을 계기로 양국은 서로를 방산분야의 경쟁 상대가 아니라 방산협력 파트너로 인식하게 됐다”며, “K-방산이 유럽 재무장 계획이라는 새로운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스웨덴을 비롯한 다양한 나토와 EU 회원국과 협력을 지속 강화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2일 방사청에 따르면 석 청장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폴 욘슨 국방장관 면담에서 스웨덴의 재무장 계획을 청취하고 고위급 교류를 활발히 이어나가기로 했다.
이어 국방획득사업을 관장하는 예란 모르테손 국방물자청장과의 면담에서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M-SAM Ⅱ)와 국산 다연장 로켓 천무 등 우리 무기체계를 활용한 종합적인 해결책을 제안했다.
아울러 인공지능(AI)과 로봇, 우주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방산 분야에 적용하는 공동 연구개발을 추진하기로 합의하고, 이를 위해 올해 방산군수공동위원회를 개최해 논의 내용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비동맹 중립 노선을 유지해오던 스웨덴은 2022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을 계기로 나토 가입을 신청했고, 지난해 3월 32번째 나토 회원국이 됐다.
석종건 방사청장은 “스웨덴은 우수한 방산기업을 가진 유럽의 방산 선진국으로서, 이번 면담을 계기로 양국은 서로를 방산분야의 경쟁 상대가 아니라 방산협력 파트너로 인식하게 됐다”며, “K-방산이 유럽 재무장 계획이라는 새로운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스웨덴을 비롯한 다양한 나토와 EU 회원국과 협력을 지속 강화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