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중국 의존도 줄인다…인도서 아이폰 생산 60% 확대

  • 세계 아이폰 생산 인도 비중 약 20%로 상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 기업 애플이 지난 1년 간 인도 내 아이폰 생산량을 60%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 집중된 공급망을 다각화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애플이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 물량은 총 220억 달러(약 31조원)에 달한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6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매장에서 판매되는 소매 가격이 아닌 공장 출고 시점의 출하 가격을 토대로 산출됐다.
 
이에 따라 세계 아이폰 생산에서 인도 비중은 약 20%로 상승했다.
 
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한 지난 2월 이후 인도에서 미국으로의 아이폰 수출도 급증했다.
 
인도 기술부 장관도 지난 8일 애플이 같은 기간 1조5000억루피(약 24조8250억원) 상당의 아이폰을 수출했다고 밝혔다.
 
애플은 지난달부터 상호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해 전세기 6대를 동원해 아이폰 약 150만대, 600t 분량을 인도에서 미국으로 긴급 공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앞으로 인도에서 생산된 아이폰의 미국 시장 공급량을 더 늘릴 방침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현재 중국에 추가 관세 20%를 포함해 총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는 10%의 상호관세를 부과했지만 이를 90일간 유예한 상태다.

한편 미국은 11일 스마트폰, 컴퓨터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전격 제외했다. 145%에 달하는 관세폭탄을 맞은 중국에 생산기지를 둔 삼성전자, 애플과 같은 기업들도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14일 발표를 예고한 ‘반도체 품목별 관세’라는 변수가 남아 있어 불확실성이 지속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