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베트남 도착해 국빈방문 일정 개시…"더 깊은 협력 추진하고 싶다"

  • 순방 앞두고는 "무역전쟁엔 승자 없어" 美비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일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도착해 르엉 끄엉 베트남 국가주석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일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도착해 르엉 끄엉 베트남 국가주석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일 베트남 하노이 노이바이공항에 도착해 이틀간의 베트남 국빈방문 일정을 개시했다. 시 주석은 18일까지 진행되는 동남아 순방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전쟁'에 맞서 주변 국가들과의 결집을 시도할 전망이다.
 
로이터·관영 베트남뉴스통신(VNA)·중국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하노이 공항에 도착해 발표한 서면 연설에서 베트남과 더 높은 수준과 더 넓은 범위에서 더 깊은 협력을 추진하고 싶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이날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회담한 이후 15∼18일에는 말레이시아, 캄보디아를 방문해 각각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와 만날 예정이다.
 
이번 방문에는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외교부장 겸임)과 왕샤오훙 공안부장, 차이치 중앙서기처 제1서기 등도 함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시 주석이 방문한 국가들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해 공급망 이전, 이른바 '탈중국' 행렬의 수혜를 입은 ÈM·이다. 이중 베트남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에서 중국의 가장 큰 무역 상대국이면서 최대 수혜국으로 꼽힌다.
 
하지만 베트남은 트럼프 2기에서 46%라는 높은 상호관세를 부과받게 된 상황이다. 이에 시 주석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에 맞서 양국 공동 대응을 해야한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시 주석은 이날 방문에 앞서 베트남 공산당 기관지 '년전'(인민) 기고문에서 "무역전쟁과 관세전쟁에는 승자가 없고, 보호주의에는 출구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자간 무역체제를 확고하게 유지하고, 글로벌 산업·공급망 안정을 유지하며,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국제 환경을 유지해야 한다"며 "양국은 산업·공급망 협력을 강화하고 5G, 인공지능(AI), 친환경 발전 등 신흥 분야 협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베트남과 중국을 잇는 3개 철도 노선 구축 사업, 스마트 항만 건설 사업에서 협력할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이에 럼 서기장은 중국 관영 인민일보 기고문에서 중국 최고지도자 중 가장 많이 베트남을 찾은 시 주석이 '베트남의 진심 어린 동지이자 절친한 벗'이라고 화답했다. 부이 타인 선 베트남 부총리 겸 외교부 장관도 이번에 베트남이 철도·농업 무역·디지털·녹색 경제 분야에서 협력 강화를 기대하고 있으며, 양국이 여러 분야에서 약 40개 합의에 서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베트남은 또 베트남 북부와 중국을 잇는 철도 건설 사업을 위해 중국 차관을 도입하고, 중국 첫 자체 제작 중형 여객기인 중국상용항공기공사(COMAC·코맥) C919의 베트남 운항을 승인하는 등의 방안도 검토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