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국 포위망 꾸리는 미국…한국 등 우방국과 무역협상 우선 추진

  • 美재무장관 "韓과 내주 무역 협상…먼저 합의하는 국가가 유리"

  • WSJ "美, 韓·英 등 우방 5개국과 우선협상…베선트 각국 접촉"

  • 백악관, 관세 맞대응 나선 중국 압박 강화…"모든 옵션 검토 중"

스콧 배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14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경제부 건물을 나서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14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경제부 건물을 나서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를 무기로 대(對)중국 포위망 구축에 나섰다. 한국, 영국, 호주, 인도, 일본 등 5개 우방국들과 무역 합의를 먼저 도출한다는 목표를 내놓은 것이다. 미국은 한국과 다음 주 본격적인 무역 협상에 나설 예정인 가운데 희토류 수출 통제를 선언한 중국에 대해서는 “모든 옵션을 검토 중”이라며 압박 수위를 올렸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지난주에는 베트남, 16일에는 일본, 다음 주에는 한국과의 협상이 있다”며 “(협상은)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보통 가장 먼저 협상을 타결하는 사람이 최고의 합의를 하게 된다”며 “난 각 나라들에 최선의 제안을 가져오라고 말한다. 뭘 들고 왔는지 보고 거기서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특히 “가장 중요한 교역 파트너국과의 협상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참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정부가 한국을 비롯해 영국, 호주, 인도, 일본과의 협상을 우선 진행할 것이라고 이날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베선트 장관은 동맹국들에게 자신의 최우선 목표에 이들 5개국이 포함됐으며 자신이 각 국가의 당국자들과 접촉해 왔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접근은 거센 중국의 맞대응, 증시 폭락 등이 초래한 금융 시스템 불안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 추진 동력이 한풀 꺾였다는 평가 속에서 나왔다. 블룸버그는 베선트 장관이 한국·일본 등 동맹국과 손잡고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포위망 구축 계획을 갖고 있다고 보도했다.
 
주요 우방국과 먼저 무역 합의 성과를 내겠다는 방향성을 선명히 드러낸 미국은 반대로 중국에 대해서는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진행된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과 베트남의 경제 협력 강화에 대해 “그 만남은 ‘어떻게 하면 우리가 미국을 망치게 할까’를 파악하기 위한 것 같다”고 비꼬았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4일부터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3국 순방에 나서며 대미 전선 합류를 촉구하고 있다.
 
또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대해 “우려스럽다”며 “우리는 모든 옵션을 현재 검토 중”이라고 추가 대응 가능성을 시사했다. 베선트 장관은 “중국은 우리의 최대 경제 경쟁국이자 군사적 라이벌”이라며 “중국과의 협상은 다른 나라들보다 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 대중국 관세를 총 145%(추가관세 20% 포함)로 올린 반면 한국 등 나머지 국가에는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하고 있다. 

한편 이번 주 베선트 장관과 협상을 앞둔 일본은 긴장감 속에 신중한 모습을 나타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14일 중의원(하원) 예산위원회에서 “빠르게 협상을 매듭지으면 좋다는 방식의 생각은 하지 않는다”며 논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대만은 미국의 우선 협상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았음에도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라이칭더 총통이 전했다. 그는 전날 타이베이 총통부에서 대만과학기술대 교우회 관계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이번 도전을 대만의 기회로 바꿔 ‘대만 플러스(+) 1’, 다시 말해 ‘대만 플러스 미국’의 새로운 구도를 추진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