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회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보면 기업들은 올해 가장 우려하는 노동시장 현안(복수응답)으로 '최저임금 인상'(47.2%)을 첫손에 꼽았다. 이는 중소기업에 국한되지 않는다. 중기(52.6%)는 물론 중견기업(38.9%)과 대형 유통업체가 속한 대기업(43.1%)도 최저임금 인상을 가장 큰 우려 대상이라고 답했다. 업종별로 보면 대형 유통업체가 속한 서비스업 회원사의 36.8%가 최저임금 인상에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유통이 노동집약적인 업종인 동시에 비정규직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한국노동사회연구원이 고용노동부 고용형태 공시제(2024년 3월)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비제조업의 비정규직 비율은 47.8%로 제조업(24.6%)을 크게 웃돈다. 유통서비스업에 속하는 도매소매업체 244곳에서 근무하는 39만1000명 중 13만4000명이 비정규직으로 집계됐다. 유통업체 근로자 3명 중 1명(34.4)이 비정규직인 셈이다.
올해 최저임금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건 실적 부진이 계속되는 데다 대내외 경제 여건이 한층 악화해서다. 롯데쇼핑은 백화점·마트 사업 부진으로 지난해 매출이 전년보다 3.9% 줄고 영업이익은 6.9% 감소했다. 같은 기간 신세계 매출은 3.3%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면세점 실적 급감으로 25.1% 쪼그라들었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현 최저임금 정책은 시장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무리한 인상은 기업이 비용 절감을 위해 인력 감축을 선택하게 해 일자리 감소로 이어지는 만큼 고용주와 전체 경제 생태계를 균형 있게 반영하는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