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산호초 복원 프로젝트' 1년 성과… 농구장 25배 면적 복원

  • 바닷속 촬영 최적화 갤럭시 '오션모드' 지원

삼성전자가 갤럭시 카메라 기술을 활용한 해양 생태계 복원 프로젝트 코랄 인 포커스Coral in Focus를 위해 산호초를 찍고 있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갤럭시 카메라 기술을 활용한 해양 생태계 복원 프로젝트 '코랄 인 포커스(Coral in Focus)'를 위해 산호초를 찍고 있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갤럭시 카메라 기술을 활용한 해양 생태계 복원 프로젝트를 통해 1년간 농구장 25배 면적의 산호초를 복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삼성전자는 해양 생태계 복원 프로젝트 '코랄 인 포커스'의 1주년 성과를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UCSD)의 해양학 연구소 스크립스와 미국 비영리단체 시트리와 함께 산호초 복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산호초 주요 서식지이자 최근 파괴가 심각한 △미국 플로리다 △인도네시아 발리 △피지 비티레부섬에서 갤럭시 스마트폰으로 바닷속 산호초 사진을 촬영해 산호초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복원 활동에 기여하는 프로젝트다.

삼성전자는 바닷속 산호초 촬영을 위한 수중 사진 촬영에 최적화된 갤럭시 스마트폰 카메라용 '오션 모드'를 개발했고, 각 지역 활동 단체들은 해당 모드가 탑재된 갤럭시 S24 울트라를 활용해 현지에서 산호초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오션모드는 지역 활동 단체에만 제공된다.

오션 모드로 촬영한 산호초 사진은 총 17개의 3D 산호초 복원도로 제작됐으며 산호초 군락 재생의 토대가 됐다. 또 바닷속 생태계를 관찰하며 새롭게 심어진 산호 수는 총 1만1046개이며, 농구장 25배인 1만705㎡의 해양 내 산호초 면적이 복원되는 결과를 얻었다.

산호초는 해양 생물에게 중요한 서식지를 제공하고, 해양 환경 보호와 탄소 순환에 기여하는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산호초를 복원하는 것은 해양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이다.

현지에서 갤럭시 스마트폰을 통해 수집된 다수의 산호초 사진은 스크립스 연구소로 전달돼 3D 산호초 복원도를 제작하고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는 데 사용된다. 지역 활동 단체들은 다시 해당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산호초 복원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