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기로 땅을 파지 않고도 지하 빈 공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23일 오전 삼성역 인근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건설공사 현장. '서울시 땅꺼짐 탐사대' 차량 앞에 선 하창봉 영동대로 3공구 감리단장은 "9호선 봉은사역 인근에서 상하수도관 주변을 중심으로 지하·굴착 주변 도로 공동 확인 작업을 3회 실시한 결과 이상이 없었다"며 "앞으로 매달 GPR 탐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공개해 안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차량 뒤에는 GPR 리프트가 있어 전자기파를 이용해 지표면 아래의 구조물을 탐지한다. 땅을 파지 않고도 지하 2m 깊이에서 빈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15억원을 투입해 차량형 GPR 3대를 추가하고, 총 7대를 서울 전역 도로에서 운행한다. 영동대로 공사 현장과 더불어 서울도시철도 9호선 4단계 건설공사와 동북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건설공사 중점적으로 탐사한다.
다만 GPR 탐사는 지하 2m까지만 가능해 한계가 있다. 명일동 싱크홀, 지난해 8월 연희동 싱크홀 모두 사고 시점 3개월 전 검사를 했음에도 이상 징후를 발견하지 못했다. 시는 GPR 탐사와 더불어 CCTV, 계측기 등을 총동원해 지하 공사 관리·감독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대형 싱크홀 사고를 미리 예측할 방안이 있는지 강구할 방침이다.

이날 영동대로 지하 복합개발사업 3공구 현장에서 지하 암반 굴착은 35m 깊이까지 진행된 상태였다. GTX-A·C 노선이 지나갈 지하 5층까지 10m를 더 파야 한다. 하 단장은 "머리 위를 원통형 철제 구조물을 가리키며 "횡으로된 버팀목을 설치 중인 단계다. 총 42개씩 8단을 설치한다"고 설명했다. 해당 사업은 구간이 1000km에 달하고 1~4공구를 나눠 DL이앤씨, 현대건설, 롯데건설 등 여러 시공사가 참여하고 있다.
공사 현장 곳곳에는 폐쇄회로(CC)TV 220대와 계측기 1424대를 설치해 사각지대를 최소화했다. 하 단장은 "고정형 CCTV 69대에 더해 이동형 CCTV 8대를 곳곳에 비치했다"며 "관리감독자들이 착용하는 웨어러블캠 143대까지 현대건설 본사와 현장 사무소, 서울시 재난안전실, 현장 감독자에 이르는 4중 감시 체계를 형성했다"고 설명했다.
GPR 탐사 한계를 극복할 뚜렷한 방안이 없는 시점에서 시는 지하 공사 현장과 지하철역을 대상으로 이동식 CCTV·계측기 등을 꼼꼼히 살필 방침이다. 시는 영동대로 지하 복합개발 사업 외에도 △디지털3단지~두산길산 지하차도 △동북선 도시철도 △위례선 도시철도 등 100억대 이상 규모의 지하 공사를 8건 진행 중이다.
건설업계에서는 굴착 공사 안전점검 강화로 인한 공사 지연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정부는 지자체와 함께 대형 굴착공사장 대상 안전관리 실태 점검과 특별 관리 계획 수립 등을 추진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굴착 공사 관련 인허가는 물론 안전점검 실시 주기 강화 등으로 공사·사업 기간이 더 늘어나고 사업성에도 영향을 미쳐 공급 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칠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