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30일(현지시간) 대미 투자를 약속한 기업들을 백악관에 초청해 자신이 취임 후 100일간 거둔 경제적 성과를 홍보한다.
28일 블룸버그·로이터 통신은 백악관 관계자 등을 인용해 현대차와 엔비디아, 존슨앤드존슨, 일라이릴리, 제너럴일렉트릭(GE), 소프트뱅크, 도요타자동차 등 기업들의 최고경영자(CEO) 20여 명이 30일 백악관에서 열리는 행사 '미국에 투자하라(Invest in America)'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백악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행사에서 집권 2기 100일 동안 국방·기술·헬스케어·소비재 산업 부문 등에서 거둔 광범위한 투자 성과에 대해 홍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재취임 뒤 기업 등에서 약속받은 대미 투자 규모는 2조 달러(약 2880조원)로 집계된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100일 만에 조 바이든이 4년 동안 이룬 것보다 더 많은 미국 투자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다음 날인 지난 1월 21일 오픈AI와 소프트뱅크, 오라클은 미국 내 인공지능(AI)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합작회사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시작을 알리며 향후 4년간 총 5000억 달러(약 720조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현대차도 지난 달 24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함께한 발표 행사를 통해 향후 4년간 미국에서 210억 달러(약 30조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이달 14일 향후 4년간 파트너사들과 미국에서 최대 5000억 달러(약 720조원) 규모의 AI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 일라이릴리(270억 달러·약 39조 원), 존슨앤드존슨(55억 달러·약 8조원), IBM(1500억 달러·약 216조원) 등도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행사는 관세 전쟁으로 인한 금융 시장과 국채 가격이 급락하는 등 경제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열린다.
트럼프 대통령은 각국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며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만들겠다고 공언했지만, 결과적으로 인플레이션 심화와 경기 침체 우려를 불러일으키며 역대 대통령 중 최저 수준의 취임 100일 지지율을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