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전선, 美 해저케이블 공장에 1조 투입… 트럼프 2기 첫 韓기업 투자

  • 미국 최대 규모 해저케이블 공장 착공

  • 2028년 양산 목표… 설비 확장도 계획

28일현지시간 버지니아주 체사피크시 LS그린링크 착공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오른쪽 5번째부터 글렌 영킨 버지니아 주지사 구본규 LS전선 대표 릭 웨스트 체사피크 시장 사진LS전선
28일(현지시간) 버지니아주 체사피크시 LS그린링크 착공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오른쪽 5번째부터) 글렌 영킨 버지니아 주지사, 구본규 LS전선 대표, 릭 웨스트 체사피크 시장 [사진=LS전선]
관세 이슈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LG전선이 미국 대규모 공장 건설에 착수하며 대응에 나섰다.

LS전선은 자회사 LS그린링크가 버지니아주 체사피크시에 미국 최대 규모 해저케이블 제조 공장을 착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총 6억8100만 달러(한화 약 1조원) 규모로, 트럼프 행정부 2기 이후 한국 기업의 첫 대형 현지 투자다.

LS전선은 이번 투자를 통해 미국의 공급망 자립 전략에 선제 대응하고, 글로벌 에너지 인프라 전환을 이끄는 교두보를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미국 내 해저케이블 생산 인프라가 제한적인 만큼 현지 조달 확대와 공급망 안정성 측면에서 전략적 의미가 크다.

구본규 LS전선 대표는 "LS그린링크 공장 건설은 LS전선이 글로벌 에너지 인프라 기업으로 도약하는 전환점"이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인프라를 바탕으로 급증하는 글로벌 해저케이블 수요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공장은 엘리자베스강 유역 39만6700㎡(약 12만평) 부지에 들어서며, 연면적은 약 7만㎡(약 2만평) 규모다. 오는 2027년 3분기 완공해 2028년 1분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향후 글로벌 수요에 따라 설비도 확장할 계획이다.

생산 설비에는 201m 높이의 수직연속압출가교설비(VCV) 타워와 전용 항만시설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초고압직류송전(HVDC) 해저케이블의 생산부터 운송, 공급까지 원스톱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갖추게 된다.

VCV 타워는 버지니아주 내 최고층 구조물이자 필라델피아에서 샬럿 사이 동부 해안권에서 가장 높은 산업시설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또 이번 공장 건설로 지역사회에는 330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기수 LS그린링크 법인장은 "이미 유럽 수출용 18개월치 물량을 확보했다"며 "미국의 지난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는 한국 연간 전력 수요의 절반인 32GW에 달하며, 2030년에는 120GW로 세 배 이상 증가할 전망으로 케이블 수요도 급증할 것"이라고 말했다.

LS전선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은 물론 유럽과 중동을 아우르는 글로벌 해저사업 공급망의 중심축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 LS마린솔루션과 LS에코에너지와의 사업 시너지도 기대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