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사표를 던지며 3년 후 대통령직을 내려놓겠다고 선언했다. 임기 첫날 '대통령 직속 개헌 기구'를 만들어 속도감 있게 개헌을 완료한 뒤 3년 후 총선과 대선을 실시하겠다는 구상이다.
한 전 총리는 2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출마 기자회견을 열고 "제가 사랑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우리 모두를 위해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찾기로 마음먹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 전 총리는 "세 가지를 약속드리겠다"며 가장 먼저 '바로 개헌'을 언급했다. 그는 "임기 첫날 대통령 직속 개헌 지원 기구를 만들어 개헌 성공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취임 첫해에 개헌안을 마련하고 2년 차에 개헌을 완료하고 3년 차에 새로운 헌법에 따라 총선과 대선을 실시한 뒤 곧바로 직을 내려놓겠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개헌안에 대해서는 "국회와 국민들이 치열하게 토론해 결정하시되 저는 견제와 균형, 즉 분권이라는 핵심 방향만 제시하겠다"며 개입을 최소화할 것을 시사했다. 특히 "이번에 우리가 개헌에 성공하지 못하면 다시는 지금과 같은 기회가 찾아오기 어렵다"며 "공직 외길을 걸어온 제가 신속한 개헌으로 우리 헌정질서를 새로운 반석 위에 올려놓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미국발 관세 폭풍이 전 세계 모든 나라의 가장 시급한 통상현안이다. 글로벌 무역 질서가 뒤바뀌고 있다"며 통상해결도 약속했다.
한 전 총리는 "지난 8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한·미 동맹의 굳건한 기반 위에 통상해법을 적극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지난주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2+2 고위급회담에서 상당히 의미 있는 성과가 있었다"며 "해결의 속도가 한층 빨라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 통상교섭본부장, 경제부총리, 국무총리, 주미대사 등을 역임한 경험을 나열하며 "이 일을 가장 오래 해온 사람이고 가장 잘할 사람이라고 자신한다"고 덧붙였다.
또 "국민통합과 약자동행, 즉 국민동행을 약속드린다"며 "좋은 일자리, 쾌적한 주택, 편리한 교통, 질 좋은 의료, 세심한 육아지원, 든든한 노후 보장, 이런 일을 가장 잘할 수 있는 분들을 찾아 최고의 내각, 일하는 내각을 구성하고, 그분들이 책임지고 실질적인 성과를 이뤄내도록 치열하게 독려하겠다"고도 다짐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정부는 '한덕수 정부'가 아니다. 좌우로 나뉘는 대신 앞으로 오직 앞으로 나아가고 싶은 모든 사람의 정부, 바로 '여러분의 정부'"라고 힘줘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