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윤석열 정부와의 관계가 강점이자 약점으로 평가된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집권당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가장 가까이에 있었기 때문에 대선 후보가 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란·탄핵 문제와 관련해 야당 측 프레임 공세를 막아낼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평가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윤석열 정부 시절 장관을 지낸 전력이 있어 중도 확장 가능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여전히 높은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는 점이 최대 강점이다. 반면 사법 리스크는 부담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 교수는 "사법 리스크가 남아 있다는 게 큰 약점"이라고 지적했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사법 리스크 정도가 아니라 '파기환송' 리스크다. 사실상 대법원에서 유죄를 확정한 것이며 형량 결정만 남은 상황"이라고 짚었다.
한덕수 무소속 후보는 풍부한 행정 경력을 소유하고 있지만 윤석열 정부 총리로서 계엄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 단점이다. 황 평론가는 "역설적으로 보면 비상계엄, 내란에 책임이 있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박 평론가도 "본인이 적극적이든 소극적이든 내란·탄핵 문제와 연관돼 있다는 측면이 대선 본선에서는 큰 약점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전문가들은 대선을 불과 한 달 남겨둔 현시점에서 근본적인 취약점 해소는 불가능하다고 분석한다. 신 교수는 "이미지는 오랜 시간이 걸려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단번에 바꿀 수 없다"고 언급했다. 황 평론가는 "약점을 극복할 방안은 없다. 정치라는 건 복잡하게 그림을 그린다고 되는 게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이미 가진 약점은 후보들이 알아서 할 일"이라며 "오히려 각자 장점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