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주요 후보들이 공식 선거 운동을 본격화한 가운데 일본 현지 언론들은 사설을 통해 한국 대선의 의미와 전망을 짚었다.
진보 성향의 아사히신문은 14일 ‘한국 대선, 다음 세대 건설을 위한 논쟁의 장’이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이번 선거를 “비상계엄이라는 사태를 거쳐 대통령과 민주주의 방식에 관해 묻는 선거”라고 정의했다. 그러면서 “분단을 넘어 다음 세대를 위한 기반을 다지는 실질적인 논전(論戰)을 기대한다”고 제언했다.
아사히는 “절대 권력을 가진 대통령이 독단으로 빠지지 않고, 정권과 여당·야당이 충분한 논의를 거쳐 국민과 소통하며 장기적 시각으로 지혜를 모아야 한다”며 “이러한 정치적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짚었다. 신문은 또 “북한 핵·미사일 개발,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권과 영향력을 확대하는 중국에 대한 대응 등 공통 과제를 안고 있는 한·일은 협력의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면서 “인접 국가에서 어떤 지도자가 탄생할지는 일본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도 이날 ‘한국 대선은 분단 극복으로 이어지는 논전돼야’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이번 대선은 “한·일 관계를 포함해 국가 전반의 정책 방향을 좌우할 것”이라며 “일본 국민도 큰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것”이라고 전했다.
닛케이는 “한국 대선은 사실상 양대 정당 대결로 여론조사에서는 야당에 의한 정권 교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강하다”며 “김문수 후보의 반격을 위해선 보수 진영 재정비와 지지 확대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한편 한반도 연구 전문가인 기미야 다다시 도쿄대 종합문화연구과 특임연구원은 이날 일본외신기자클럽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지난 60년간의 한·일 관계의 궤적을 되짚고 6월 3일 치러질 한국 대선에 대해 전망했다. 기미야 연구원은 “이번 대선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 계엄 문제에 대한 마침표를 찍는 선거”라면서 “선거를 통해 진보 정권인 이재명 정권으로 바뀔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고 내다봤다.
차기 정권의 외교 정책에 있어서는 “윤 정권의 정책이 이어질지, 문재인 정권의 정책으로 회귀할지 알 수 없지만 한국이 처한 상황으로 볼 때 외교에 있어서는 (윤 정권을) 계승하게 될 수밖에 없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견해를 밝혔다.
기미야 연구원은 또 “이재명 후보가 과거에는 일본에 대해 매우 강한 비판을 한 적이 있지만 최근 여러 언동을 보면 일본과의 관계가 중요하고 한·일 관계를 관리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한국에서는 보수·진보의 정권교체에 따라 외교정책에 변화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한 뒤 “이 같은 전제 위에서 한·일 간 공통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양국 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