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농식품 분야(농림축산식품부·농촌진흥청·산림청) 예산은 1조1246억원이다. 지난해 이상기후로 농산물 가격이 크게 널뛰면서 대규모 R&D 예산 증액 필요성이 커졌지만 지난해(1조739억원)와 비교하면 4.7%(507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문제는 기후변화가 당초 예상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는데 농식품 분야 R&D 예산은 제자리걸음이라는 점이다. 최근 5년간 농식품 분야 R&D 예산 현황은 △2021년 1조2272억원 △2022년 1조3080억원 △2023년 1조3456억원 △2024년 1조739억원 △2025년 1조1246억원 등이다. 특히 올해 예산은 2023년과 대비하면 16.4%(2210억원) 줄어든 규모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컨트롤타워도 부재하다. 당초 정부는 기후변화에 따른 농산물 수급 안정을 위해 총괄 컨트롤타워인 '농식품 기후변화 대응센터'를 전남 해남군에 설치하기로 했다. 하지만 공사를 위한 협상 과정에서 변수가 생겨 착공 시기는 올해 6월에서 내년 9월로 밀렸고 준공 시기는 2026년 하반기에서 2027년 상반기로 연기됐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기술 강화에 투자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현재보다 기체농도조절(CA) 저장 기술을 발전시키고 강화하고 수확 후 관리기술에 집중 투자하는 등 농산물 비축 기술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장도환 농협중앙회 미래전략연구소 연구위원은 "현재 정부의 기후변화 정책은 재난 이후 복구에 집중된 경향이 있다"며 "R&D 투자를 통해 기후변화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고 농가에 보급하는 걸 힘써야 한다"고 꼬집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